– 건강한 사람에게는 없는 괴이한 생각 · 말 · 행동
– 대표적인 증상 환각, 망상, 와해된 언어, 기이한 행동
– 양성 증상은 뇌의 신경전달물질의 변화로 유발된다는 견해가 지배적 → 주로 약물치료에 의해 호전될 수 있음
– 건강한 사람에게 정상적으로 나타나야 되는 기능이 소실되거나 결핍 되어 있는 상태
– 대표적 증상 : 무쾌감증, 무의욕증, 감정의 둔마, 현저한 언어 빈약, 자발성 감소, 사회적 철회, 주의력결핍 등
정신기능 | 이상행동의 종류 | |
사고장애 | 형태 | 자폐적 사고, 마술적 사고, 1차 사고과정, 구체적 사고(추상적 사고 결여), 신어조작증 |
과장 | 사고의 비약, 음연상, 사고지연, 지리멸렬, 연상이완, 사고의 단절, 우회증(우원증), 사고 이탈, 보속증, 함구증 | |
내용 | 환상, 망상(과대망상, 관계망상, 피해망상 등), 강박사고 | |
정동장애 | 정서 | 무감동, 부적절한 정서, 둔마된 정서, 제한된 정서, 불안정한 정서, 무쾌감증 등 |
기분 | • 유쾌한 기분 : 다행감, 의기양양, 기고만장, 황홀감 • 불쾌한 기분: 우울, 예민한 기분 등 | |
감정 | 불안, 두려움, 공포, 긴장, 초조, 공황, 양가감정, 죄책감 등 | |
행동장애 | 과다행동 | |
과소행동 | ||
반복행동 | 강직증, 기행증, 상동증, 보속증, 자동증(반향언어, 반향행동), 거부증, 강박행동, 충동행동 등 | |
지각장애 | 착각, 환각(환청, 환시, 환촉, 환후, 환미), 이인감, 비현실감 | |
의식장애 | 혼돈, 혼탁, 섬망, 몽롱, 혼미, 혼수 | |
주의력장애 | 주의산만, 둔화, 동요 | |
지남력장애 | 시간, 장소, 사람 | |
기억력장애 | 기억과다증, 기억상실증(전진성, 역행성, 국소성), 기억착오증(작화증, 회고곡해, 기시감, 미시감) | |
인지기능장애 | 실어(언)증, 실행증, 실인증 | |
판단장애 | 사회적 상황에 대한 올바른 판단의 장애 | |
지능장애 | 지능에 따라 경계선, 경증, 중등도, 중증, 극심한 단계 |
– 어떤 것을 생각하거나 판단하는 정신 활동
– 생각, 판단, 이해, 추론 등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정신 작용
– 현실과의 관계성, 질서나 논리성 및 조직성의 결여
• 외부현실을 무시하고, 외부와의 적절한 관련성 없이 자신의 내적세계에 집착
• 자신만의 논리 속에 빠져서 일반 상식이나 논리와 동떨어진 비현실적 사고를 하는 것
• 대상자의 욕망 · 콤플렉스 · 본능 등의 무의식이나 감정적 요소가 더 많은 기능을 함으로써 백일몽 · 환상 · 망상 등에 몰입
• 조현병 대상자에게 많이 나타남
• 원인과 결과에 대한 현실적 이해 부족
• 기괴한 사고와 믿음으로 떠오른 생각, 말, 행동 등이 어떤 사건이 일어나도록 하거나 미리 막을 수 있는 초자연적인 힘을 가지고 있다고 믿음
• 사고가 기이하고, 특이하며 기괴한 특성이 있으며, 강박적인 경향이 있음
• 주로 어린아이나 강박장애, 조현병에서 나타날 수 있음
• 무의식적인 경향의 작용
• 사고의 질서나 논리성이 결여되고 비조직적이고 비논리적이며 비현실적이고 마술적임
• 정신병적 사고의 대부분이 이에 속하나 정상인의 꿈에서 보이는 사고도 해당됨
• 은유를 사용하지 못하고 그 의미를 알아차리지 못하는 문자적이고 1차원적인 사고를 말하며, 추상적 사고와 반대되는 개념 예) 속담의 의미나 사물의 유사점 · 상이점 등을 이해못하고 문자적 의미 그대로 받아들이는 경우
• 주로 조현병에서 많이 나타남
• 자신만이 아는 의미의 새로운 단어나 표현을 만들어 내는 현상
• 조현병에서 주로 나타남
: 생각과 생각 사이의 연결된 흐름의 장애
• 연상작용이 지나치게 빨라 대상자의 생각과 대화가 하나의 주제에서 다른 주제로 빠르게 진행되는 현상
• 주변 자극이나 동기에 의해 사고의 흐름이 방해 받아 결국 결론에 도달하지 못하거나 엉뚱한 결론에 도달하기도 함
• 사고의 비약은 특히 조증 상태에서 많이 나타남
• 조현병의 과대망상과 연관되어 나타나기도 함
• 연상되는 사고가 너무 많아 사고의 흐름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못하고 빙빙 돌다 최종적으로는 목적한 결론에 이르는 현상
• 말하고자 하는 결론에 도달하기는 하지만 그 과정에서 지엽적인 부분에 할애하는 시간이 많음
• 빗나간 사고
• 다시 요점으로 되돌아가지 못해 결과적으로 처음 의도한 생각이나 목표에 도달하지 못함
예) 조증 상태의 대상자가 말이 길어지면서 이야기의 줄거리를 잃어버리고, 마지막에는 일련의 미사여구만 늘어놓다 예기치 않게 무엇인가 우스운 질문으로 끝나는 경우
사고의 우회증 – 사고의 이탈
• 조현병에서 흔함
• 신경인지장애, 섬망, 물질관련장애, 지적장애, 양극성장애의 조증 상태에서도 나타남
• 사고과정에서 연상속도가 매우 느려짐
• 우울장애 조현병에서 흔함
• 대상자들은 생각이 잘 떠오르지 않아 말하기 어렵다고 하며, 실제 말하는 속도도 매우 느리고 목소리 크기도 작음
– 사고의 두절 (blocking of thought)
• 사고의 흐름이 갑자기 중단
• 조현병의 특징적 증상
예) 대상자가 말을 하다가 갑자기 멈춤
– 사고의 박탈 (deprivation of thought)
• 대상자는 사고의 두절이 아주 심해 처음부터 생각이 떠오르지 않는 것
• 보통 감당하기 힘든 무의식적 갈등이나 강렬한 감정과 결부
• 전혀 관련이 없거나 관련이 적은 상황으로 연상이 진행되는 엉성한 사고
• 듣는 사람이 말하는 내용을 이해하거나 파악하기 어려움
• 말이 연결되지 않고 일관성이나 조리가 없어 이야기의 줄거리나 내용을 파악할 수 없는 현상
• 말비빔(word salad) : 전혀 무관한 것으로 보이는 일련의 단어만 나열하는 지리멸렬의 극심한 형태
• 조현병을 비롯한 정신질환에서 흔히 볼 수 있음
• 말의 의미보다는 단순히 소리의 음향에 따라 새로운 사고가 끊임없이 연결되는 것
예)
간호사 : 무슨 동에 사세요?
대상자 : 서초동이요. 명동은 어디지요? 그런데 올림픽에서 동메달은 몇 개나 땄지요?”
• 질문 내용과 전혀 연관성이 없는 동문서답식의 엉뚱한 대답 을 함
예)
간호사 : 어느 동네에 사나요?
대상자 : 어제 저녁 반찬이 아주 맛있었어요
• 새로운 자극이 주어지고 사고를 진행시키려고 노력을 계속적으로 하는데도 사고가 더 이상 진행되지 못하고 머물러 있는 현상
예)
간호사 : 오늘 뭐 먹었어요
대상자 : “치매” 라고만 반복적으로 답함
• 사고에서 ‘무엇’에 해당하는 것 으로 대상자만이 특정한 의미를 갖는 경우를 말함
• 망상 (delusion) : 사실과 다른 불합리하고 잘못된 믿음
• 충족되지 못한 무의식적 욕구나 불안 등에 대한 투사 혹은 방어적 표현
• 망상의 내용은 대상자가 처한 시대적 상황이나 사회 · 문화적 환경에 영향을 받음
• 망상은 사고가 현실과 동떨어져 있고, 교육 정도나 환경과 부합되지 않으며 이성이나 논리에 의해 교정되지 않는 특성이 있음
• 조현병에서 가장 흔함
• 누군가가 자신이나 가족을 해치려고 하거나 감시하고 있다고 믿음
• 피해망상의 종류
– 자신이 미행당하고 쫓기고 있다 : 추적망상 (delusion of pursuit)
– 자기를 죽이려고 음식에 독을 탔다 : 독약망상 (delusion of poisoning)
– 자신이 감시당하고 있다 : 관찰망상 (delusion of observation)
• 피해망상 내용은 아주 다양하며 비교적 그럴듯한 내용부터 현실성이 적은 내용이나 아주 기괴한 내용까지 다양
“국정원 직원이 나를 미행해요 . 우리 집은 모두 도청당하고 있어요”
• 자신의 힘, 능력, 권력, 부, 우월성, 위대성, 중요성 등의 측면에서 현실과 동떨어져 실제보다 과장해서 믿고 있는 망상
• 현실에서의 열등감 · 실패감 · 불안 등에 대한 보상기전으로 나타남
• 경조증(hypomania) · 조증(mania)에서 가장 많음
• 조현병이나 신경인지장애, 섬망 등의 뇌장애에서도 나타남
“나는 메시아로 전 인류를 구제할 사명과 능력이 있는 사람이다.”
• 주위에서 일어나는 일상적인 일이나 객관적인 사실이 모두 자기 자신과 관련되어 일어난다고 믿는 망상
• 여러 망상과 관계가 있음
• 내용도 다양하고 광범위해 피해적 내용, 우울증적 내용, 과대적인 내용을 보일 수도 있음
뉴스 시청 중 “아나운서가 내 이야기를 하고 있어요”라고 말함
“복도에서 두 사람이 나를 보고 비웃는 것 같다.”
• 자신의 신체 부위가 이전과 달라져서 몸에 큰 이상이 생겼다고 믿는 경우
‘기형적으로 생겼다’
‘신체 장기가 썩고 있다’
• 다른 사람이 자신을 이상하게 쳐다본다는 관계망상과 함께 나타나기도 함
• 모든 이성이 자신을 사랑하고 있다든지, 반대로 자신은 모든 이성을 사랑해야 할 권리나 의무가 있다고 믿는 경우
• 정당한 이유 없이 배우자나 애인을 의심하고 믿지 못하는 것
• 의처증, 의부증, 결혼편집증
• 대상자의 정신 상태를 모르는 제3자가 들으면 사실이라고 생각할 정도로 논리 정연하게 체계화 됨
• 심각한 우울장애와 조현병 대상자에게서 자주 나타남
• 빈곤망상 (delusion of poverty) : 실제로는 아닌데도 너무 가난해서 살 수 없을 정도이고, 이런 상황에서 영원히 벗어나지 못할 것이라고 믿는 것
• 죄책망상 (delusion of sin) : 상식적으로 그럴 만한 일이 아닌데도 도저히 용서받을 수 없는 죄를 지었다면서 심한 양심의 가책이나 죄책감을 느끼는 것
• 허무망상 (nihilistic delsion) : 자신은 존재할 가치가 없으며 살아갈 아무 의미가 없다거나 자신, 타인, 세계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고 종말을 고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
• 질병망상 (delusion of disease) : 자기가 어떤 불치병에 걸려 더 이상 살 수 없다고 생각하는 것
– 기분 조절이 어렵고 비정상적인 기분이 장시간 지속되는 장애
– 정서 : 감정에 비해 지속적인 내면 상태 , 감정을 느끼는 방식이나 뿌리 깊은 마음의 상태
• 상황이나 사고 내용과 맞지 않는 감정 상태
심각해야 할 상황에서 웃음을 보인다든지 슬퍼해야 할 상황에서 웃는 반응을 보이는 것
• 대상자 대부분은 면담에 몰입하지 못하며 보이지 않는 벽이 존재하는 느낌이 들게 함
• 눈맞춤이 적거나 아예 못하고, 면담자를 향해 제대로 몸을 돌려서 앉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 외부 자극에 대해 주관적인 느낌이 없는 것처럼 보이고, 감정 표현이 많이 무딘 상태
• 무감동 (apathy) : 객관적 반응조차 없음
• 무쾌감증 (anhedonia) : 무감동이 아주 심해 외부의 모든 자극에 대해 관심이나 감정이 모두 없어진 극심한 상태 → 통상적인 일이나
즐거움에 대한 흥미를 상실한 상태
• 기분이 약간 들떠서 유쾌하고 좋은 상태
• 낙관적인 태도와 행복감을 느끼는 상태
• 다행감 + 자신감 + 정신운동성 초조
• 무모하리만큼 자신감 있고 과감한 행동
• 의기양양에 자신감이 지나쳐 과대적인 생각이나 행동까지 동반
• 자신의 생각대로 되지 않을 때 쉽게 충동적으로 되거나 화를 잘 내고 일일이 간섭
• 유쾌함의 극치
• 이 세상에서 못할 것이 없을 것 같은 무한한 힘을 느낌
• 우주 · 신 등과의 일체감 체험
• 일종의 종교적인 무아지경의 상태
• 불쾌감이 쉽게 발산
• 쉽게 자극 받고 짜증을 내거나 화를 냄
• 과거 행동에 대한 후회, 자책, 양심의 가책을 느낀다고 표현하는 빈도와 강도를 사정함으로써 평가할 수 있음
• 대부분 비정상적인 죄책감과 다양한 신체증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음
• 주관적인 표현(실망, 비관, 슬픔, 절망, 침울한 주제 등)과 신체적 문제(얼굴 표정, 울음, 신음소리, 수면곤란, 식욕부진, 기타 신체적 문제 등)을
근거로 사정
• 종류 : 일시적 우울감 (blue spells), 상실에 대한 슬픔반응과 애도 (grief & mourning), 비정상적으로 장기간 지속되는 강한 병적 슬픔
• 동일한 대상이나 상황에서 상반된 감정이나 태도, 욕구, 생각 등을 동시에 느끼는 것
• 조현병에서 흔하나 정상인도 있을 수 있음
• 양가감정이 심하면 일상생활에서 사소한 결정도 내리지 못하고 주저 하는 모습이 나타남
• 뚜렷한 외부 자극 없이 초조하거나 두려운 느낌을 경험
• 실제 두려움의 대상이 명확한 공포(phobia)와 구별
• 초조 (agitation) : 불안이 아주 심해 안절부절 못함
• 긴장 (tension) : 불안과 연관된 신체 · 동작상의 증상을 중심으로 감정과 근육의 팽팽함을 느낌
• 공황 상태 (panic state) : 불안이 극도로 심해 곧 죽을 것 같은 공포를 경험
• 증가된 내적 욕구에 따라 활동을 지나치게 하는 것
• 활동이 지나치게 많은 반면 결과물은 거의 없어 비생산적임
• 활동을 잠시도 쉬지 않고 하는 경우부터 보통보다 약간 증가된 정도까지 매우 다양
• 경조증이나 조증 상태, 소아나 청소년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 등에서 많이 나타남
• 행동의 빈도나 강도가 모두 저하
• 동작이 느리고 어떤 일을 시작하기 힘든 상태부터 거의 움직임이 없는 혼미 (stupor)에 이르기까지 정도가 다양
• 주로 우울장애에서 많고 간혹 조현병에서 긴장증이 동반
• 객관적으로 특별한 의미가 없으나 무의식적인 긴장이나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방편으로 계속 같은 행동 반복
가만히 있지 못하고 복도를 계속 왔다갔다하거나 마당에서 몇 시간씩 숫자 8 모양의 트랙을 밟고 있는 경우
• 이야기하면서 특유의 제스처 를 반복하는 것
• 상동증보다 지속성이 덜하고 다채로우며 그 사람 특유의 습관적이고 불수의적인 반복행동을 의미 함
• 언어의 상동증으로, 의미 없는 단어나 짧은 문장을 반복하는 것
간호사의 질문에 바보 바보 바보로 같은 말 반복
• 뇌기능의 손상으로 인해 다른 새로운 동작을 하려고 노력하는데도 반복적으로 같은 동작을 함 (상동증과 다름)
• 언어나 동작 포함
• 언어 보속증이 많음
• 반복행동이 지나쳐서 그것이 매우 불편한 자세인 경우라도 계속 같은 자세를 취함
• 심한 강직증의 일종
• 전혀 움직이지 않고 계속 같은 자세를 취함 (밀랍인형 같음)
• 다른 사람에 의해 피동적으로만 움직이는 현상
• 조현병에서 긴장증이 동반되는 경우에 특징적으로 나타남
• 자신의 의지나 생각이 전혀 없는 로봇처럼 타인의 요구에 복종해서 그대로 따라 하는 것
• 자동증에는 다른 사람의 말을 메아리처럼 그대로 따라 하는 반향언어(echolalia)와 다른 사람의 동작을 그대로 흉내내
는 반향동작(echopraxia)
• 조현병에서 가장 흔함
• 타인의 요구와 정반대로 행동하거나 요구에 대한 저항의 표시로 전혀 반응하지 않는 것
• 말할 수 있는 능력은 있으나 전혀 말하지 않는 함구증(mutism), 식사를 거부하는 거식증(refusal of food)
• 지시하는 것에 따르지 않고 부탁 받은 일은 모두 거절하는 조현병 대상자의 경우도 이에 속함
• 불합리하고 쓸데없다는 것을 잘 아는데도 같은 행동을 반복
• 대부분 강박사고와 동반되어 나타남
• 단순하고 심각하지 않은 경우 전혀 다른 일을 할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한 정도에 이르기까지 다양
밤마다 조명을 몇 번 이상 끄지 않으면 안 됨
잠자리에 들 때는 신을 나란히 벗어 놓지 않으면 안 됨
문을 여닫을 때마다 여러 번 확인해야 함
반복해서 손을 씻는 행동을 보이는 경우 등
• 감각기관을 통해 들어온 것을 인식하는 과정
• 외부로부터 감각기관을 통해 들어온 자극을 자신의 과거 경험과 연결해 조직화하고 해석해서 실제를 파악하고 이해하는 상태를 말함
• 정신장애의 대표적 특성으로 인식될 정도로 정신장애 대상자들이 흔히 경험하는 증상 중 하나이며, 그 양상이 다양함
• 감각의 질적 변화를 경험하는 예 : 조현병 대상자가 음식에서 독약 맛이 난다거나 꽃 향기를 살이 썩는 냄새라고 호소하는 경우를 들
수 있음
• 외부에서 감각기관으로의 자극 전달과정은 정상이나 뇌에서 이를 통합하고 해석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해 실제의 외부 대상을 왜곡 되게 인식하는 현상
예) 죄책감이 심한 우울장애 대상자가 바람소리를 자신을 채찍질하는 소리로 듣는 경우
• 거시증 (macropsia) : 사물이 실제보다 더 커 보이는 현상
• 미시증 (micropsia) : 사물이 실제보다 더 작아 보이는 현상
• 공감각 (synesthesia) : 하나의 감각이 다른 형태의 감각으로 인식
자동차 소음이 시각적인 효과로 바뀌어 선명한 색깔로 보임
음악소리가 색채로 보이는 경우
• 이인증 (depersonalization) : 자기가 자신이 아닌 것 같고, 친숙하지 않고 낯설고 어색하게 느껴지거나 존재하지 않는 것 같은 느낌이 드는 상태
“내가 육체 밖에 있는 것처럼 느껴져요.”
“내가 너무 생소해 전혀 모르는 사람 같이 느껴져요.”
• 비현실감 (derealization) : 주변 환경에 대한 현실감이 없어 생소한 환경이 친숙하게 느껴지거나 반대로 익숙한 환경이 아주 생소하게 느껴지는 시공간적 왜곡현상의 형태
• 실제로는 외부에서 감각기관으로 투입된 자극이 없는데도 실제 있는 것으로 지각 하는 현상
• 무의식이나 전의식이 의식 수준으로 나타나는 감각상의 표현
• 다양한 심리적 욕구나 상황 등이 외부세계로 투사되거나 자기 내부로 함입되어 나타나는 현상
• 환청을 제외한 다른 형태의 환각은 오히려 조현병보다 뇌 손상이나 약물 중독 대상자에게서 더 많이 나타남
• 기억력이 정상보다 항진되어 지나치게 불필요한 것까지도 세세히 기억하는 경우
• 조증 상태나 편집증적 상태에서 나타날 수 있음
• 건망증이나 망각이라고도 함
• 특정 사물이나 시기에 대해 선택적으로 혹은 전반적으로 나타날 수 있음
• 기억의 회상 장애
• 심리적 충격 후 갑자기 선택적 기억상실후 회복도 갑자기 완전히 되는 경우도 많음
• 당장의 불안으로부터 회피하는 1차적 이득과 기타 부수적 2차적 이득
• 남편이 교통사고로 사망한 후 갑자기 최근의 일을 기억하지 못하고, 시간에 대한 지남력 장애와 의식의 혼돈 상태를 보이는 것
• 유형
– 국한된 기간 동안 일어났던 사건을 회상하지 못하는 국소적 기억상실
– 자신의 생활사에 대한 기억을 전부 잃는 전반적 기억상실
– 전체의 회상은 불가능하나 일부분의 회상이 가능한 선택적 기억상실
– 그 당시 환경에서 일어난 사건에 대해서는 알고 있으나 그 순차적인 부분은 기억하지 못하는 지속적 기억상실
• 기억의 등록과 저장의 장애가 많음
• 대부분 신경학적 소견과 의식이나 지남력의 장애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음
• 기질성은 서서히 발생하며 기억상실이 산재되어 있고, 회복은 서서히 불완전하게 되는 경우가 많음
• 산발적이고 일관성이 없는 건망증은 뇌독성, 노인성 신경인지장애, 기타 물질관련장애의 경우에서 흔하게 나타남
• 전진성 : 어떤 시점 이후, 특히 최근 기억을 상실하는 것으로 노인성 퇴화 현상의 특징
• 후진성 : 어떤 시점 이전 의 기억을 상실하는 것으로, 중추신경계의 손상 시점 직전부터 수년 전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시간대를 포함할 수 있음
개인의 전 생애를 모두 포함하거나 개인적인 사항 (personal identity) 까지도 잊어버리는 경우는 거의 없음 → 꾀병(malingering)이나 해리장애를 고려
뇌외상, 뇌전증 발작 후, 전기경련치료 후에 주로 나타남
• 과거에 없던 일을 마치 있던 일처럼 기억 또는 사실과 다르게 기억
작화증 (confabulation)
• 자신을 방어하고 보호하려는 무의식적인 기전
• 자신이 기억하지 못하는 부분을 무의식적으로 조작해 결손된 부분을 메우는 현상
기시현상 (deja vu)
• 처음 경험하는 일인데도 마치 과거에 경험한 것처럼 느끼는 현상
미시현상 (jamais vu)
• 과거에 많이 경험한 일을 처음 경험하는 것 처럼 느끼는 현상
• 신경증, 조현병에서 자주 나타나지만 정상인도 심한 피로로 지쳤거나 강한 감정 상태에서 경험할 수 있음
• 의식장애 중 가장 가벼운 상태
• 자극에 대한 반응이 신속하지 못하고 지남력 장애를 보이며 주의력과 사물에 대한 이해력도 감퇴된 상태
• 지각력과 주의력이 상당히 감퇴하고 주변 환경이나 언어에 대한 이해력도 거의 상실한 상태
• 이러한 상황에서 벗어난 후에도 이를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
• 광범위한 뇌조직의 기능저하로 단기간에 발생하는 의식장애와 인지 변화가 특징
• 대부분 시간 · 장소 · 사람에 대한 지남력이 상실되어 있음
• 공포를 유발하는 심한 환각이나 착각을 보이므로 공포감에 휩싸인 경우가 많음
• 벌레가 자기 피부나 바닥을 기어 다닌다든지 뱀 같은 동물이 자신을 공격하려고 한다는 내용이 가장 많이 보고됨
• 섬망은 밤에 증상이 시작되고 증세가 심해지는 등 기복이 심한 급성 상태이고 단기간의 경과를 갖는 점이 특징
• 강한 통증자극을 통해 일시적으로 깨울 수 있는 정도의 의식 상태
• 심인성 혼미 : 실제 의식의 단절이 없는데도 마치 단절된 것처럼 보이는 경우로, 서서히 깨어나는 기질성 혼미와 달리 갑작스럽게 공
격적 행동으로 변할 수 있음
• 혼미의 극심한 상태
• 모든 정신활동이 정지해 외부의 어떤 자극에도 반응을 보이지 않고, 심장과 호흡 기능만이 활동하는 의식이 완전히 없는 상태
• 말의 흐름이 아주 빠르고 말의 양이 많아지는 상태
• 스스로 통제가 안 되며 중단하기도 어려운 상태
• 말에 일관성과 논리성은 있으나 말수가 많은 것
• 말의 양이 적고, 어떤 질문에도 단음절의 반응만 보이는 것
• 단어 선택이나 문법은 맞지만 발음이 곤란한 경우
• 연령, 성별, 사회문화적 배경이 일치하는 또래에 비해 개념적, 사회적, 실행적 영역에서의 지적기능과 적응기능의 결함을 보임
• 심각도 수준에 따라 분류
– 경도 (IQ 55 에서 약 70)
– 중등도 (IQ 40 에서 50 55)
– 고도 (IQ 20~25 에서 35∼ 40)
– 최고도 (IQ 20∼25 이하)
• 낮은 지능지수보다 적응기능에서의 장애가 주로 표현됨
• 적응기능이란 개인이 의사소통, 자기돌봄, 가정생활, 사회적 기술이나 대인관계기술, 지역사회자원 이용, 자기관리, 기능적 학업기술, 일, 여가, 건강, 안전 등의 측면에서 공동생활의 요구에 얼마나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가임
• 후천적으로 기억, 언어, 판단력 등 여러 영역의 인지기능이 떨어져 일상생활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임상증후군으로 정의
• 판단력 (judgement) : 어떤 상황을 사정, 평가하여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들 간의 관계를 인식해 올바른 결론을 내리고, 행위의 결과를 이해하고 행동에 대해 책임질 수 있는 능력
• 판단력이 요구되는 현실검증력(reality testing) : 외부세계를 객관적으로 지각, 평가, 판단하는 종합적인 능력
• 현실검증력 장애는 주로 조현병과 기타 정신증적 장애에서 볼 수 있음
• 지남력 orientation)orientation) : 시간 , 장소 , 사람에 대한 방향감이 있고 이를 정확하게 인식한 상태
• 시간에 관한 지남력 : 날짜, 요일, 달, 계절, 입원 기간 등 질문
• 장소에 관한 지남력 : 대상자의 거주지, 병원이나 병동 이름 등 질문
• 사람에 관한 지남력 : 자신의 이름, 나이, 가족, 의료인 등 질문
• 지남력 상실은 흔히 기질적 장애나 정신장애의 급성 상태에서 나타남
• 시간, 장소, 사람 순으로 장애가 오며, 호전 시 반대 순으로 회복됨
• 병식 (insight) : 자신에게 정신질환이 있다는 사실을 받아들이고 질환의 역동적 본질 및 원인을 판단할 줄 아는 능력
• 주로 조현병이나 망상장애 대상자에서 병식이 결여되어 있음을 볼 수 있으며 현실검증력이 결여되어 생기는 증상
• 대상자와의 면담은 치료적 관계 형성, 정보 획득, 정신병리 사정, 피드백 제공 등을 고려하여 수행됨
• 대상자와 신뢰관계를 형성하고, 이상행동을 사정하며 유용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대상자의 모든 언어적 행동은 물론 비언어적 행
동을 면밀하고 주의 깊게 관찰하는 것이 가장 기본
• 이러한 과정에서 공감, 경청, 개방형 질문, 스트레스나 정서적 고통에 대한 치료자의 민감성 등의 치료적 기술이 적용 될 수 있어야 함
(여성건강간호학) 분만생리 01 정상 분만 - 정의 : 태아와 부속물(Passenger)과 만출력(Power), 산도(Passage)가 조화롭게 존재할 때…
(성인간호학) 혈관계 (동맥) 건강문제와 간호 02 동맥질환 동맥류(Aneurysm) 정의 및 특성 ① 동맥벽이 탄력성을 잃어…
(성인간호학) 혈관계 (동맥) 건강문제와 간호 01 혈관계 구조와 기능 - 체순환, 폐순환으로 이루어진 폐쇄회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