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간호학) 지역보건사업 – 보건지소 보건진료소 건강생활지원센터

(지역간호학) 지역보건사업 – 보건지소 보건진료소 건강생활지원센터

보건지소

1) 보건지소의 설치 기준

(1) 읍 · 면(보건소가 설치된 읍 · 면은 제외)마다 1개소씩으로 함

(2) 시장 · 군수 · 구청장은 지역주민의 보건의료를 위하여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필요한 지역에 보건지소를 설치 · 운영할 수 있음

2) 보건지소장

(1) 보건지소에 보건지소장 1인을 두되, 지방의무직 또는 전문직공무원으로 임용

(2) 보건지소장은 보건소장의 지휘 · 감독을 받아 보건지소의 업무를 관장하고 소속 직원을 지휘 · 감독하며 보건진료소의 직원 및 업무에 대하여 지도 · 감독

보건진료소

1980년 「농어촌 등 보건의료를 위한 특별조치법」에 근거하여 농어촌에 설치된 1차 보건의료 사업기관

1) 목적

  • 알마타 선언의 영향을 받아 보건의료 취약지역 주민에게 1차 보건의료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보건의료서비스의 균형과 건강수준 향상을 도모(일차의료제공자 역할)

2) 설치 기준

  • 의료취약지역을 인구 500인 이상(도서지역은 300인 이상) 5천인 미만을 기준으로 구분한 하나 또는 수 개의 리 · 동을 관할구역으로 하여, 주민의 의료이용이 편리한 장소에 설치

3)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의 업무

(1) 의료행위의 범위 (근무지역 내에 한함)

① 질병 · 부상 상태를 판별하기 위한 진찰, 검사

② 환자 이송

③ 외상 등 흔히 볼 수 있는 환자의 치료 및 응급처치

④ 질병 · 부상의 악화 방지를 위한 처치

⑤ 만성질환자의 요양지도 및 관리

⑥ 정상 분만 시의 분만 도움

⑦ 예방접종

⑧ ①~⑦에 따른 의약품 투여

(2) 보건사업 업무

① 환경위생 및 영양개선에 관한 업무

② 질병예방에 관한 업무

③ 모자보건에 관한 업무

④ 주민의 건강에 관한 업무를 담당하는 자에 대한 교육 및 지도

⑤ 기타 주민의 건강증진에 관한 업무

건강생활지원센터

① 지역사회 밀착형 건강관리 전담 기관

② 읍 · 면 · 동 마다 1개씩 설치(보건소가 설치된 읍 · 면 · 동 제외)

③ 지역 내 민간 의료자원과의 연계 및 협력을 통한 지역사회 특화형 건강증진 서비스 발굴 및 수행

  • 금연, 절주, 영양, 신체활동과 만성질환 예방 및 관리사업에 중점
yongyong

Recent Posts

(여성건강간호학) 난산 02

(여성건강간호학) 난산 02 병리적 퇴축륜 - 선진부 하강이 없으면서 계속 강한 수축이 있을 때 -…

1시간 ago

(여성건강간호학) 난산 01

(여성건강간호학) 난산 01 정의 - 분만과정이 정상에서 벗어나서 진행되는 것 - 느리고 비정상적인 분만 진행이…

3시간 ago

(아동청소년간호학) 지중해 빈혈(thalassemia)

(아동청소년간호학) 지중해 빈혈(thalassemia) 개요 지중해 빈혈은 상염색체 열성 유전으로 헤모글로빈 사슬 합성의 손상된 정도가 특징이다. 이…

2일 ago

(아동청소년간호학) 겸상적혈구 빈혈

(아동청소년간호학) 겸상적혈구 빈혈 발생빈도와 원인 겸상적혈구 빈혈은 낫모양의 세포를 가지게 되는 상염색체 열성 유전질환으로, 질환을 갖고…

2일 ago

(아동청소년간호학) 재생불량 빈혈(aplastic anemia)

(아동청소년간호학) 재생불량 빈혈(aplastic anemia) 개요 재생불량 빈혈 (aplastic anemia) 은 골수에 있는 줄기세포의 손상 또는 골수의…

2일 ago

(아동청소년간호학) 철결핍 빈혈(iron deficiency anemia)

(아동청소년간호학) 철결핍 빈혈(iron deficiency anemia) 빈혈 빈혈(anemia)은 질환이 아니라 원인된 질병이나 손상에 의해 혈액의 산소운반 능력이…

3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