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부학) 감각계통(Sensory system) 02

평형 청각기(귀=ear=ot/o=aur/i)

– 제 8뇌신경(와우신경과 전정신경)

– 청각(내이의 달팽이관, 와우신경), 평형감각(전정과 세반고리관, 전정신경)

귀의 세부분

1) 외이(external ear)

➀ 이개(=귀밧퀴, auricle) : 연골, 소리를 모은다

➁ 외이도(external auditory meatus) : 외부의 소리를 고막에 전달, 귀지

2) 중이(middle ear)

➀ 고막(ear drum, tympanic membrane) : 외부로부터 들어온 소리를 진동시켜 이소골에 전달, 중이를 외부로부터 보호, 진주 모양 광택

➁ 이소골(ossicle) : 추골, 침골, 등골

➂ 난원창(=안뜰창) : 음파를 내이로 전달

➃ 유스타키오관(eustachian tube=이관)

㉠ 중이와 인두를 연결하는 관

㉡ 외이와 중이의 압력을 같게 조절

㉢ 보통 닫혀 있으나 하품이나 삼키는 동작시 열린다

㉣ 소아 : 곧고, 짧고,넓다 ∴ 중이염 호발

3) 내이(internal ear)

➀ 전정(=안뜰=vestibule)

㉠ 이소골의 등골과 난원창을 사이로 접해 있다.

㉡ 이소골의 진동이 전정의 외림프액에 전달 -> 신경전도를 자극한다.

㉢ 세반고리관과 달팽이관 사이

㉣ 타원주머니(타원낭), 둥근주머니(구형낭)

➁ 세반고리관(semicircular canal):세 개의 고리 모양, 평형과 균형 감수체가 있다, 전정신경

➂ 달팽이관(=와우=coclea)

㉠ 코인처럼 감겨 있다

㉡ 청각을 수용체(코르티기관)가 있다. 와우신경(청신경 가지)

➃미로(labyrinth)

㉠달팽이관과 세반고리관에 있는 복잡한 교통관

㉡뼈미로, 막미로->림프액이 흐른다

㉢뼈미로와 막미로 사이->외림프액

㉣막미로 바깥->내림프액

내림프액이 과도->메니에르 병(어지러움,오심과 구토, 청각상실)

미각기

(1) 혀가 중심인 감각, 쓴맛, 단맛, 신맛, 짠맛, 혀의 미뢰-약 9000개

(2) 혀 앞쪽 2/3 미각-안면신경, 혀 뒤쪽 1/3 미각-설인신경

후각기

– 코점막, 후각세포

내장감각(visceral sensation)

(1) 내장은 촉각, 온도, 고유감각 수용체는 없다. 감각을 못 느낀다.

(2) 내장의 통각, 압력 감각은 수용체가 있다. -> 내장 감각

(3) 내장 통각은 통증 부위가 명확하지 않다. 불쾌감, 자율신경 증상 수반

(4) 통각 신경로

1) 척수 시상로 중 외측 척수 시상로

2) 신경섬유

➀ A델타 섬유(대섬유, 빠른 통증 섬유, 말이집 신경) : 날카롭고 찌르는 듯한 통증

➁ C섬유(소섬유, 느린 통증 섬유, 민말이집 신경) : 쑤시고 묵직한 통증

3) 머리 조직 통증은 삼차신경, 안면신경, 설인신경, 미주신경 -> 감각섬유 -> 뇌로 전달

나머지는 척수신경 후근을 통해 척수로 전달

(5) 통증 중동의 조절

– 척수 후각 통증 전달 억제 물질 : 엔케팔린, 세로토닌, 엔돌핀(모르핀과 유사)

(6) 연관통(referrent pain)

1) 내장 감각이 투사 될 경우 마치 피부가 아픈 것처럼 느끼는 것

2) 척수 신경 분절에 분포한 피부에서 통증이 발생 = 동일한 척수 수준의 신경이 자극되기 때문

3) 예: 심장통(협심증) -> 왼쪽 팔과 어깨에 통증 -> 심장에서 기원한 통증을 마치 피부에서 오 는 통증처럼 느낀다. 공동신경로(피부 통증로와 심장통 통증로를 같이 쓴다)를 통해 뇌로 전달.

yongyong

Recent Posts

폐경 완경 논란 – 산부인과 의사 입장

폐경 완경 논란 - 산부인과 의사 입장 https://nurseyong.com/%EC%99%84%EA%B2%BD%EC%9D%B4%EB%9D%BC%EB%8A%94-%EC%A2%8B%EC%9D%80-%EB%A7%90%EC%9D%84-%EB%91%90%EA%B3%A0-%EC%99%9C-%ED%8F%90%EA%B2%BD%EC%9D%B4%EB%9D%BC%EB%8A%94-%EB%A7%90%EC%9D%84-%EC%93%B0%EC%84%B8/

2일 ago

병원안전사고 사례 분석 (12개월 영아 과다 투약 사망사고)

병원안전사고 사례 분석 (12개월 영아 과다 투약 사망사고) 🩺 1. 사고 요약 2022년 3월 제주대학교병원에서…

3일 ago

동공크기 대광반사

동공크기 대광반사 동공 크기(Pupil Size) 정상 동공 크기: 약 2~5mm, 양쪽이 대칭 형태: 둥글고 경계가…

3일 ago

출혈성 뇌졸중 (Hemorrhagic Stroke) 종류 특성

출혈성 뇌졸중 (Hemorrhagic Stroke) 종류 특성 출혈성 뇌졸중 👉 뇌혈관이 파열되어 혈액이 뇌조직 또는 지주막하…

3일 ago

허혈성 뇌졸중 (Ischemic Stroke) 종류 특성

허혈성 뇌졸중 (Ischemic Stroke) 종류 특성 허혈성 뇌졸중 (Ischemic Stroke) 혈류가 차단되어 뇌조직이 산소와 영양을…

3일 ago

두개내압 상승 (IICP) 환자의 증상 치료 간호

두개내압 상승 (IICP) 환자의 증상 치료 간호 두개내압 (IntraCranial Pressure, ICP) 정의 : 두개강 내…

4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