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간호술 구두평가 01

활력징후

① 성인 대상자의 활력징후 정상범위(예, 정상혈압 충족조건을 수축기, 이완기 혈압을 포함하여 설명하세요.)

– 호흡 12-20회/분

– 맥박 60-100회/분

– 체온 35.9-37.6도 (항문 > 고막 > 구강 > 액와)

– 혈압 수축기 90-140

– 혈압 이완기 60-90

② 활력징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설명하기(예, 누워 있다가 서게 되면 혈압은 어떻게 변하는가?)

체위 변화 (Postural Changes)
  • 누워 있다가 서게 되는 경우 (기립성 변화):
    • 혈압 변화: 누운 상태에서 서면 중력의 영향으로 다리 쪽으로 혈액이 몰리게 됩니다. 이에 따라 심장으로 돌아오는 혈액량(정맥환류)이 감소하고, 심박출량(Cardiac Output)이 줄어들어 일시적으로 수축기 혈압이 낮아지고, 맥박이 빨라질 수 있습니다. 이를 기립성 저혈압(Orthostatic Hypotension)이라고 합니다.
    • 보상 기전: 신경계는 이를 감지하고 교감신경 활성화를 통해 혈관을 수축시키고 심박수를 증가시켜 혈압을 정상으로 유지하려고 합니다.
활동 수준 (Activity Level)
  • 운동 중: 심장 박동수와 혈압이 증가하여 산소와 영양소를 근육에 공급합니다.
  • 운동 후: 운동 후에는 혈압이 일시적으로 낮아질 수 있으며, 이를 운동 후 저혈압이라 합니다.
정서 상태 (Emotional State)
  • 스트레스나 불안: 교감신경이 활성화되어 혈압과 맥박이 증가합니다.
  • 이완 상태: 부교감신경이 활성화되어 혈압이 낮아지고 맥박이 느려질 수 있습니다.
나이 (Age)
  • 노화: 동맥이 딱딱해지면서 탄력성이 감소하여 혈압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 소아: 혈압이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체온 (Temperature)
  • 발열: 발열 시 대사율이 증가하여 심박수와 혈압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 저체온증: 대사율이 감소하며 맥박과 혈압도 낮아질 수 있습니다.
체액 상태 (Fluid Status)
  • 탈수: 혈액량이 감소하여 혈압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 과수분증: 혈액량이 증가하여 혈압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약물 (Medications)
  • 항고혈압제: 혈압을 낮춥니다.
  • 교감신경 흥분제: 혈압을 상승시킬 수 있습니다.
시간대 (Time of Day)
  • 아침: 혈압이 낮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저녁: 활동량과 스트레스 증가로 혈압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피하주사

① 피하주사 부위

– 상박외측

– 대퇴의 전면

– 복부 아랫부분

– 견갑골 아랫부분

② 혈당검사결과 판정

– 공복 시 혈당(FBS) 정상치 70~100mg/dL

  • 정상: 70~99 mg/dL
  • 전당뇨: 100~125 mg/dL
  • 당뇨병: 126 mg/dL 이상 (두 번 이상 확인 시 진단)

– 식후 2시간 혈당(PP2hr) 정상치 90~140mg/dL

  • 정상 범위 : 90~140mg/dL
  • 예비 당뇨병 범위 : 141~199mg/dL
  • 당뇨병 범위 : 200mg/dL 이상

흡인

① 적절한 흡인 압력(성인/아동)

– 성인 110~150mmHg

– 아동 95~100mmHg

– 영아 50~95mmHg

② 흡인 시 유의점(성인/아동 흡인압, 카테터 뺄 때 주의할 점, 카테터 삽입부터 흡인시간, 추가흡인 시 시간간격)

– 흡인시 10~15초를 넘지 않도록 한다.

– 재흡인은 20~30초 후에 시행한다.

– 총 흡인 시간은 2분을 넘지 않도록 한다.

– 카테터 삽입 시 흡인기를 작동하면 점막 손상의 우려가 있다.

– 카테터를 회전시키면서 흡인한다.

정맥수액 주입

① 말초정맥 주사 부위

손등 정맥: 접근이 쉽지만 얇아서 손상 가능성 있음.

– 팔 정맥: 안정적이고 카테터 고정이 용이함.

– 팔꿈치 정맥: 굵고 쉽게 접근 가능하지만 장기 사용은 부적합.

발등 정맥: 손과 팔을 사용할 수 없을 때 대안으로 사용.

– 머리/목 정맥: 소아에서 사용, 성인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음.

② 정맥주사 합병증

국소 합병증

  • 정맥염: 부위의 발적, 통증, 부종.
  • 침윤: 주사액이 조직으로 유출되어 부종과 냉감 발생.
  • 혈종: 주사 부위 멍과 부기.

전신 합병증

  • 과민반응: 약물 알레르기로 발진, 심한 경우 아나필락시스.
  • 패혈증: 감염으로 발열, 저혈압.
  • 공기 색전증: 공기 유입으로 호흡곤란.

단순도뇨

① 무균법(내과적 무균법, 외과적 무균법)

내과적 무균법

  • 감염사슬을 차단하여 병원체의 수와 전파를 줄일 수 있는 방법
  • 감염성 질병 환자뿐만 아니라 모든 대상자에게 적용
  • 손위생, 환자에게 일회용 기구를 사용하는 것과 사용된 기구의 오염제거와 재처리, 혈액이나 체액과 접촉 시 장갑, 가운, 마스크 모자의 착용, 일상적인 환경 청소 등이 포함

– 외과적 무균법

  • 아포를 포함한 병원체뿐만 아니라 다른 어떠한 미생물도 전혀 없는 멸균상태를 유지하는 방법
  • 수술실, 분만실, 투석실, 내시경실, 심장 카터테실 등 적용
  • 정맥주사, 도뇨관 삽입, 상처드레싱 등의 침습적 처치를 할때
  • 외과적 손씻기, 멸균장갑, 멸균가운착용 등이 포함

② 단순도뇨의 목적과 적응증

목적

  • 방광 배액: 방광에 축적된 소변 제거.
  • 소변 검사: 무균 상태의 소변 채취.
  • 잔뇨량 측정: 배뇨 후 방광에 남은 소변의 양 확인.
  • 요폐 완화: 요로 폐색이나 신경성 방광으로 인한 소변 정체 해소.

적응증

  • 소변 정체: 급성 또는 만성 요폐로 자발 배뇨가 어려운 경우.
  • 소변 검사: 감염 여부 확인 또는 무균 소변 채취가 필요한 경우.
  • 수술 전후 관리: 수술 후 소변 배출 어려움 해소.
  • 신경성 방광: 신경 손상으로 자발 배뇨가 불가능한 경우.
yongyong

Recent Posts

폐경 완경 논란 – 산부인과 의사 입장

폐경 완경 논란 - 산부인과 의사 입장 https://nurseyong.com/%EC%99%84%EA%B2%BD%EC%9D%B4%EB%9D%BC%EB%8A%94-%EC%A2%8B%EC%9D%80-%EB%A7%90%EC%9D%84-%EB%91%90%EA%B3%A0-%EC%99%9C-%ED%8F%90%EA%B2%BD%EC%9D%B4%EB%9D%BC%EB%8A%94-%EB%A7%90%EC%9D%84-%EC%93%B0%EC%84%B8/

2일 ago

병원안전사고 사례 분석 (12개월 영아 과다 투약 사망사고)

병원안전사고 사례 분석 (12개월 영아 과다 투약 사망사고) 🩺 1. 사고 요약 2022년 3월 제주대학교병원에서…

3일 ago

동공크기 대광반사

동공크기 대광반사 동공 크기(Pupil Size) 정상 동공 크기: 약 2~5mm, 양쪽이 대칭 형태: 둥글고 경계가…

3일 ago

출혈성 뇌졸중 (Hemorrhagic Stroke) 종류 특성

출혈성 뇌졸중 (Hemorrhagic Stroke) 종류 특성 출혈성 뇌졸중 👉 뇌혈관이 파열되어 혈액이 뇌조직 또는 지주막하…

3일 ago

허혈성 뇌졸중 (Ischemic Stroke) 종류 특성

허혈성 뇌졸중 (Ischemic Stroke) 종류 특성 허혈성 뇌졸중 (Ischemic Stroke) 혈류가 차단되어 뇌조직이 산소와 영양을…

3일 ago

두개내압 상승 (IICP) 환자의 증상 치료 간호

두개내압 상승 (IICP) 환자의 증상 치료 간호 두개내압 (IntraCranial Pressure, ICP) 정의 : 두개강 내…

4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