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호단위(nursing unit) : 한 사람의 관리자가 일정한 수의 환자에게 적절한 인력 및 시설을 가지고 최적의 간호를 수행하는 조직단위
– 환자가 입원한 각종 병실뿐만이 아니라, 외래, 중환자실, 응급실, 분만실, 수술실, 회복실, 신생아실, 투석실 등 환자의 진료과 및 기능에 따라 적절히 구성된다.
– 간호단위관리자는 흔히 수간호사(head nurse)로 칭하는데, 최근 일부 보건의료기관에서는 수간호사를 유엠(Unit Manager, UM) 또는 파트장이라고 명명하고 있다.
– 간호부서 최고계층의 명칭이 간호본부, 간호국, 간호실, 간호처, 간호부, 간호과 등으로 보건의료기관에 따라 다양하다.
– 간호단위는 크게 물리적 요소, 인적 요소 및 운영적 요소로 구성된다.
(1) 물리적 요소
– 공간
– 환자와 보호자를 위한 공간 : 환자병실, 면회실, 휴게실, 샤워실, 화장실 등
– 작업공간 : 간호사실, 처치실, 준비실, 치료실, 상담실 등
– 지원공간 : 소독물실, 물품창고, 린넨실, 배선실, 오염물실, 청소도구실, 회의실, 교육실, 갱의실, 당직실, 수간호사 사무실 등
(2) 인적 요소
– 수간호사, 책임간호사, 간호사, 간호보조 인력
– 청소용역, 환자 이송요원, 물품이나 약품전달요원 등
(3) 운영적 요소
– 간호단위 목표를 효과적으로 성취하기 위한 과정적 요소
– 예) 진료와 검사체계, 진료계획표의 적용, 환자간호전달체계, 입원환자안내체계, 퇴원환자 교육체계, 의사회진과 상담체계, 물품공급 시스템 등
– 전통적으로 간호활동은 독자적인 활동과 비독자적인 활동으로 구분
– 독자적인 간호활동 : 간호사 고유의 전문적인 활동
– 환자에게 간호과정을 적용하여 건강문제를 확인하고, 문제해결을 위한 간호계획을 수립하고, 가능한 대안을 우선순위에 따라 수행함으로써 간호목표를 달성하는 것
– 비독자적인 간호활동 : 환자의 진료를 위하여 전통적으로 간호사에게 위임된 활동으로 의사의 처방에 의한 간호수행활동
– 간호단위에서는 다양한 의료인력, 간호인력, 간호지원인력 및 학생에 대한 실무현장교육이 수행된다.
– 간호단위에서의 각종 관리기능, 행정적인 기능, 교육적인 기능 등 구체적인 각각의 기능에 대해서는 인적자원관리에서 다룸
– 간호단위에서 환자목표를 효과저긍로 달성하기 위하여 다학제 간 인력의 상호작용이 필수적이다. 특히 최근에 의료서비스가 더욱 세분화, 전문화, 다양화 혹은 통합화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의사소통은 핵심적 기능으로 중시된다.
– 간호사는 최상의 환자진료결과를 확보하기 위해 원활한 의사소통능력, 팀 정신과 인간관계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신입간호사나 경험이 적은 간호사에게 인간관계나 의사소통은 상당히 어려운 기능이다. 임상경험이 풍부한 수간호사나 책임간호사가 의사소통과 인간관계면에서 이들 간호사의 멘토나 롤모델이 될 수 있다.
관리업무
수간호사의 간호단위관리 업무
(간호관리학) 간호단위관리 03 의약품관리 의약품관리 1) 약품처방체계 - 단위용량포장시스템 : 환자에게 투여될 1회 용량의 약품을…
(간호관리학) 간호단위관리 02 환자간호관리 입원환자관리 1) 입원절차 - 입원환자 병실준비 간호사는 미화원, 간호보조원 등과 협력하여…
(간호관리학) 간호정보관리 03 환자정보보호 환자 개인정보 개요 1) 개인건강정보와 프라이버시의 정의 - 개인정보 : 살아…
(간호관리학) 간호정보관리 02 간호정보시스템 병원정보시스템의 구성 1) 전자의무기록시스템 - 전자의무기록시스템(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 외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