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관리학) 간호단위관리 02 환자간호관리

(간호관리학) 간호단위관리 02 환자간호관리

입원환자관리

1) 입원절차

– 입원환자 병실준비

  • 간호사는 미화원, 간호보조원 등과 협력하여 병실을 준비한다.
  • 사용할 침대, 화장실, 관련 집기 등을 깨끗이 소독한다.
  • 소독된 린넨으로 침상을 만들고 베개 커버, 담요와 시트, 환의 등을 준비한다.
  • 입원 전 병실상태 확인표에 따라 물품을 빠짐없이 준비하고 점검한다.
  • 원무과에서 입원시간, 환자명단, 배정병실 등을 통보받거나 확인한다.
  • 병실준비가 미비하면 환자가 기다리거나 불안감으로 건강상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다.
  • 격리실과 같은 특수시설에 입원하는 경우 메뉴얼대로 병실을 준비한다.

전과 및 전동환자관리

– 전과 및 전동은 입원한 환자에게 합당한 사유가 있어서 진료과를 변경하거나 다른 간호단위로 이동하는 것

– 전과 및 전동 시 간호

  • 절차대로 원무과 입퇴원 수속실과 의사소통하여 전과 및 전동 갈 병실을 확인한다.
  • 환자에게 전과 및 전동사유, 절차, 변경될 진료과, 병실위치와 호실 등에 대해 설명한다.
  • 간호사는 전동일지를 작성한다.
  • 상대편 간호단위의 간호사와 환자정보를 교환하고 인수인계한다.
  • 환자가 사용하던 특수약물, 준비된 혈액, 예약검사일정, 검체 등을 인수인계한다.
  • 환자가 소지한 물품 등을 챙겨서 이송요원과 함께 전동병동으로 보낸다.
  • 전과 및 전동 체크리스트를 활용한다.
  • 전과 및 전동환자는 환경변화로 불안할 수 있으므로 신속 정확한 설명으로 안정시킨다.
  • 통상 환자상태가 위중해지는 경우, 환자의 효과적인 치료를 위하여 환자를 일반병실에서 중환자실로 전동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전과 및 전동은 특히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 전입 간호단위의 간호사는 입실 가능한 시간을 확인하고 인수인계 시 알린다. 필요한 병실과 물품을 준비하여 환자가 도착하면 병실로 안내하고 의무기록, 약품 등을 정리한다. 환자가 전입하였음을 의사에게 알린다.

타과진료의뢰와 전원환자관리

– 타과진료의뢰 : 주치의의 결정으로 환자가 특정 진료과에서 치료 중에 협력을 요하는 다른 진료과의 의견을 환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조치

– 예) 소화기내과 병동에 입원한 환자가 위장관수술이 가능한지 일반외과의 의견을 구할 수 있다.

– 전원 : 보건의료기관에서 환자의 상태 변화 등으로 환자를 다른 보건의료기관에 보내 치료를 하는 경우

– 전원 시에느 환자소견 의뢰에 대한 정확하고 신속한 회신이 필요하다.

– 전원환자 간호관리

  • 이동 시 필요한 의료장비, 기구, 산소통, 수액, 약품 등을 준비
  • 의료진 동반에 대해 농의하고 필요한 인력을 동원
  • 환자의 필름, 검사결과, 소견서 등의 건강자료를 같이 보내거나 따로 보낸다.

퇴원환자관리

  • 퇴원은 입원 시부터 계획하며, 퇴원 결정과정에 환자가 참여한다.
  • 계속적인 치료나 간호가 필요한 경우 미리 시간적 여유를 두고 교육을 시킨다. 예를 들면, 당뇨환자의 경우 인슐린주사 놓는 기술이나 주사부위의 로테이션과 약물용량의 정확한 측정, 주사 후 저혈당 예방조치 등에 대한 교육을 입원 시부터 체계적으로 계획하여 수행한다.
  • 환자가 가족의 건강관리 방법과 섭생을 위한 행동요령과 지침 등에 대하여 구체적이고 현실적으로 그들이 수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설명한다.
  • 퇴원 후 치료와 건강이행 실천이 쉽지 않으므로 입원 시 환자의 건강신념을 확인하거나 건강이행을 증진시킬 수 있는 요인과 저해요인 등을 확인하여 필요시 상담이나 교육 등을 체계적으로 계획한다.
  • 환자 상태가 생활방식이나 생활공간에 대한 구조를 바꾸어야 할 정도의 장애가 있다면 사전에 이의 필요성을 정확히 진단하여 퇴원 전에 가정생활에 적합한 환경으로 조정한다.
yongyong

Recent Posts

(간호관리학) 간호단위관리 03 의약품관리

(간호관리학) 간호단위관리 03 의약품관리 의약품관리 1) 약품처방체계 - 단위용량포장시스템 : 환자에게 투여될 1회 용량의 약품을…

1일 ago

(간호관리학) 간호단위관리 03 환경관리 물품관리

(간호관리학) 간호단위관리 03 환경관리 물품관리 환경관리 1) 물리적 환경 (1) 조명 - 조명은 병실 전체를…

1일 ago

(간호관리학) 간호단위관리 01 간호단위관리의 이해

(간호관리학) 간호단위관리 01 간호단위관리의 이해 간호단위관리의 개념 1) 간호단위의 정의 - 간호단위(nursing unit) : 한…

1일 ago

(간호관리학) 간호정보관리 03 환자정보보호

(간호관리학) 간호정보관리 03 환자정보보호 환자 개인정보 개요 1) 개인건강정보와 프라이버시의 정의 - 개인정보 : 살아…

1일 ago

(간호관리학) 간호정보관리 02 간호정보시스템

(간호관리학) 간호정보관리 02 간호정보시스템 병원정보시스템의 구성 1) 전자의무기록시스템 - 전자의무기록시스템(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 외래나…

1일 ago

(간호관리학) 간호정보관리 01 간호정보화의 이해

(간호관리학) 간호정보관리 01 간호정보화의 이해 간호정보화의 개념 1) 자료 - 정보 - 지식 - 지혜…

1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