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안전사고 사례 분석 (12개월 영아 과다 투약 사망사고)

병원안전사고 사례 분석 (12개월 영아 과다 투약 사망사고)

🩺 1. 사고 요약

2022년 3월 제주대학교병원에서 생후 12개월 영아에게 에피네프린 5mg을 정맥 주사로 투여하는 의료사고가 발생하였다.
의사는 네뷸라이저(흡입기)를 통한 흡입 처방을 내렸으나, 간호사가 이를 주사로 오투약하여 권장량의 수십 배 약물이 체내에 들어갔다.
그 결과, 환아는 급격히 상태가 악화되어 중환자실로 이송되었으나 다음날 사망하였다.

사고 이후 간호사 중 한 명은 의무기록 일부를 삭제, 수간호사는 이를 묵인 및 미보고하여 사건 은폐 시도가 있었고, 결국 간호사 3명은 업무상 과실치사 및 유기치사 혐의로 구속되었다.

⚠️ 2. 문제점 분석

  1. 투약 과정의 오류
    • 의사 처방(흡입)을 간호사가 잘못 이해하여 정맥 주사로 투여함.
    • 약물의 투여 경로 확인 절차 미비.
    • 이중 확인(double check)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음.
  2. 의무기록 조작 및 보고 누락
    • 사고 후 관련 기록을 삭제하거나 왜곡함.
    • 수간호사가 이를 인지하고도 상부 보고를 지연함으로써 조직적 은폐가 발생.
  3. 병원 내 안전문화 부재
    • 투약 오류 보고 시 불이익이 우려되어 오류 은폐 분위기 조성.
    • 환자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개방적 보고 체계 부족.

🛠️ 3. 개선 대안

  1. 투약 안전 시스템 강화
    • 약물 투여 전 ‘5 Rights’(Right patient, drug, dose, route, time) 원칙을 철저히 준수.
    • 고위험 약물(예: 에피네프린) 투여 시 이중 확인제(double check system) 의무화.
    • 전산처방시스템(EMR)에 투여 경로 알림 기능 추가 및 시각적 경고창 도입.
  2. 의무기록 및 보고 체계 개선
    • 투약 오류나 사고 발생 시 즉시 사실 기반 보고 시스템(Incident Reporting System) 활용.
    • 의무기록의 삭제·수정은 로그 추적 시스템으로 관리해 조작 방지.
    • 보고자 보호 제도(‘Patient Safety Act’ 내 자기보고 면책제) 강화.
  3. 환자안전문화 조성
    • 간호사 및 의료진 대상 정기적 환자안전 교육 및 시뮬레이션 훈련 실시.
    • 사고 발생 시 비난보다는 학습 중심의 분석(루트코즈분석, RCA) 을 통해 재발 방지.
    • 조직 내 ‘Just Culture(공정한 문화)’ 도입으로, 실수 보고가 가능한 환경 조성.

💡 4. 결론

본 사례는 기본적인 투약 확인 절차 미준수사고 은폐 시도로 인해 발생한 중대한 병원안전사고입니다.
의료기관은 단순히 개인의 실수를 처벌하기보다, 시스템적 개선과 안전문화 정착을 통해 같은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yongyong

Recent Posts

폐경 완경 논란 – 산부인과 의사 입장

폐경 완경 논란 - 산부인과 의사 입장 https://nurseyong.com/%EC%99%84%EA%B2%BD%EC%9D%B4%EB%9D%BC%EB%8A%94-%EC%A2%8B%EC%9D%80-%EB%A7%90%EC%9D%84-%EB%91%90%EA%B3%A0-%EC%99%9C-%ED%8F%90%EA%B2%BD%EC%9D%B4%EB%9D%BC%EB%8A%94-%EB%A7%90%EC%9D%84-%EC%93%B0%EC%84%B8/

2일 ago

동공크기 대광반사

동공크기 대광반사 동공 크기(Pupil Size) 정상 동공 크기: 약 2~5mm, 양쪽이 대칭 형태: 둥글고 경계가…

3일 ago

출혈성 뇌졸중 (Hemorrhagic Stroke) 종류 특성

출혈성 뇌졸중 (Hemorrhagic Stroke) 종류 특성 출혈성 뇌졸중 👉 뇌혈관이 파열되어 혈액이 뇌조직 또는 지주막하…

3일 ago

허혈성 뇌졸중 (Ischemic Stroke) 종류 특성

허혈성 뇌졸중 (Ischemic Stroke) 종류 특성 허혈성 뇌졸중 (Ischemic Stroke) 혈류가 차단되어 뇌조직이 산소와 영양을…

3일 ago

두개내압 상승 (IICP) 환자의 증상 치료 간호

두개내압 상승 (IICP) 환자의 증상 치료 간호 두개내압 (IntraCranial Pressure, ICP) 정의 : 두개강 내…

4일 ago

무의식 환자 간호 (간호진단 및 중재)

무의식 환자 간호 (간호진단 및 중재) 1. 무의식의 정의 무의식(Unconsciousness)이란 자신과 주위 환경을 인식하지 못하고…

5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