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환기계통 02

심박출량(Cardiac Output, CO)

심박출량

– 심박출량 : 좌심실로부터 대동맥으로 박출되는 분당 혈액량

심박출량(cardiac output, CO) = 1회 박동량(stroke volume, SV) ☓ 심박동 수(heart rate, HR)

– 심박동량(stroke volume, SV) : 심장 박동시 심실에서 동맥계로 분출되는 1회 혈액량, 약 70ml

심박동량(SV) = EDV(end diastolic volume) – ESV(end systolic volume)

– 예 : 안정상태에서 정상인의 경우 1회 박동량은 70ml이며, 정상심박수는 평균 72회/min

심박출량(CO)=70ml☓72회=5,040ml/min

심박출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전부하(preload) : 심장근육을 신전시키는 힘으로 이완기 말에 심실에 채워지는 혈액량, 심실로 들어오는 혈량이 증가하면 전부하도 증가함

* 전부하 ↑ = 순환혈액량 많음 → 이뇨제 사용(라식스), NTG 니트로글리세린(전부하 낮춤)

후부하(afterload) : 좌심실의 분출에 저항하는 힘으로 말초혈관의 저항이 증가하면 후부하도 증가함

* 후부하 ↑ = 혈관이 좁아져 있음 → 혈관이완제 NTG 니트로글리세린

* 전부하 후부하 모두 NTG 사용 가능 → 혈압 체크

– 심장수축력 : 부하가 주어졌을 때 심장근육이 짧아지는 능력으로 교감신경계, 칼슘이온의 영향을 받는다.

혈압

(심장상태 확인)

– 심장에서 박출된 혈액이 혈관벽에 미치는 압력을 혈압이라고 함

– 혈압은 동맥압, 정맥압, 모세혈관압으로 구분됨

동맥압

: 동맥벽에 미치는 혈액의 압력을 의미

– 수축기압(systolic volume) : 수축기에 좌심실에서 대동맥으로 혈액을 분출해 내는 최고압력

정상범위 : 100~140mmHg

– 이완기압(diastolic pressure) : 심장 이완기의 최저압력을 의미함

정상범위 : 60~90mmHg

– 맥압(pulse pressure) : 최고혈압과 최저혈압의 차이, 최고혈압의 1/3 (40mmHg가 정상범위)

– 평균 동맥압(mean arterial pressure) : 전신의 혈관이 평균적으로 받는 압력을 의미함 MAP=맥압의1/3 + 이완기혈압

– 혈압 = 심박출량 ☓ 말초혈관저항

모세관압(capillary pressure)

: 혈류의 저항이 모세혈관에 미치는 압력을 의미함

– 동맥말단부 : 20~30mmHg

– 정맥말단부 : 10~15mmHg

– 모세관압 : 물질의 여과작용에 중요함

모세관압↑-> 여과작용↑-> 혈관에서 조직내로 수분이동 -> 부종

모세관압↓-> 여과작용↓-> 조직에서 혈관내로 수분이동 -> 순환혈량↑-> 혈압상승

혈관운동의 조절

– 신경에 의한 혈관운동 조절 – 자율신경계 조절

– 두 신경은 연수에 있는 심장조절중추에 의해 지배를 받음

– 교감신경 – 심장 박동수 증가, 혈관수축, 혈압상승

– 부교감신경 – 심장 박동수 감소, 혈관이완, 혈압하강

심근전신혈관
교감신경(Adrenergic)전도성 Conductivity (방실결절 AV node)↑혈관수축(관상동맥은 이완)
동방결절 SA node rate ↑
Contractility of cardiac muscle ↑
부교감신경(Cholinergic)동방결절 SA node rate ↓혈관수축 방해
전도성 Conductivity (방실결절 AV node)↓
Contractility of cardiac muscle ↓

– 1. 혈압상승 → 2. 혈관에 있는 혈압 수용기에서 감지 → 3. 중추신경에 전달 → 4. 심장억제 → 5. 혈압저하

yongyong

Recent Posts

폐경 완경 논란 – 산부인과 의사 입장

폐경 완경 논란 - 산부인과 의사 입장 https://nurseyong.com/%EC%99%84%EA%B2%BD%EC%9D%B4%EB%9D%BC%EB%8A%94-%EC%A2%8B%EC%9D%80-%EB%A7%90%EC%9D%84-%EB%91%90%EA%B3%A0-%EC%99%9C-%ED%8F%90%EA%B2%BD%EC%9D%B4%EB%9D%BC%EB%8A%94-%EB%A7%90%EC%9D%84-%EC%93%B0%EC%84%B8/

6일 ago

병원안전사고 사례 분석 (12개월 영아 과다 투약 사망사고)

병원안전사고 사례 분석 (12개월 영아 과다 투약 사망사고) 🩺 1. 사고 요약 2022년 3월 제주대학교병원에서…

6일 ago

동공크기 대광반사

동공크기 대광반사 동공 크기(Pupil Size) 정상 동공 크기: 약 2~5mm, 양쪽이 대칭 형태: 둥글고 경계가…

7일 ago

출혈성 뇌졸중 (Hemorrhagic Stroke) 종류 특성

출혈성 뇌졸중 (Hemorrhagic Stroke) 종류 특성 출혈성 뇌졸중 👉 뇌혈관이 파열되어 혈액이 뇌조직 또는 지주막하…

7일 ago

허혈성 뇌졸중 (Ischemic Stroke) 종류 특성

허혈성 뇌졸중 (Ischemic Stroke) 종류 특성 허혈성 뇌졸중 (Ischemic Stroke) 혈류가 차단되어 뇌조직이 산소와 영양을…

7일 ago

두개내압 상승 (IICP) 환자의 증상 치료 간호

두개내압 상승 (IICP) 환자의 증상 치료 간호 두개내압 (IntraCranial Pressure, ICP) 정의 : 두개강 내…

7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