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간호학) 인간의 사회문화적 영적 이해

(정신건강간호학) 인간의 사회문화적 영적 이해

사회문화적 이해

– 문화

– 문화화 과정

– 문화 변용의 과정

문화권증후군

무병 신병

– 무당이 되기 전에 앓는 일종의 정신장애

– 대상자는 대개 굿을 통해 자신에게 영향을 미치는 귀신을 파악하고, 회복 후 그 신을 모시며 그 영험으로 다른 사람들에게 씌운 귀신이나 병을 굿을 통해 쫓거나 달램으로써 도와주는 무당이 됨

–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대개 어릴 때부터 억눌린 감정이 근저에 있으며, 이를 황홀경 상태에서 정화함으로써 치료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고 봄

화병 Hwabyung

– 신체증상 : 몸의 열기, 목과 가슴의 덩어리, 가슴 답답함, 가슴 속의 치밀어 오름 등의 증상

– 정신증상 : 우울, 비관, 불안 등의 증상

– 행동증상 : 정신이 없고, 가만히 있지 못하고, 뛰쳐나가고 싶은 증상

– 주로 중년 이후의 여성에게 많고, 경제적인 수준이 낮은 계층에 많으며, 발명기간이 10여년에 걸치 만성적인 경과

– 현대 정신의학적 진단 : 신체증상장애, 주요우울장애, 지속성 우울장애, 범불안장애의 복합형태

문화권 역량

– 간호사는 특정 문화의 질병과 치료 방법에 대해 알고 문화간 의사소통 기술 숙지

– 간호사는 자기인식, 융통성, 차이나 경계를 넘나들 수 있는 업무관계 등을 증진

– 문화적으로 편협함이 없는 간호사일수록 더 넓은 세계관을 가지고 수용적인 태도

필수기술

– 범문화적 이해 : 다른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 학습하거나 문화의 가치, 개념 등을 학습

– 문화 상호간 의사소통

– 촉진기술 : 간호사 자신과 대상자의 가치 , 신념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타협, 갈등해소에 초점

– 융통성 기대치를 수정하고 새로운 행동을 시도, 이전의 방법을 조정하는 능력

횡문화적 사정

– 통증의 사정

– 문화 내에서 증상이라고 여기는 것

– 사람들이 통증이나 증상을 표현하는 방법

– 통증이나 증상의 원인에 대한 믿음

– 조력자들에 대한 태도

문화적 인식의 형성

– 성별의 차이, 의사소통의 방식, 특수용어, 인간관계, 장소와 음식의 사용

– 이해하고 존중하는 태도와 대상자에 대한 진심 어린 관심

– 문화적 간호의 가치, 종교, 친족관계에 대한 대상자의 반응 모두에 관심

– 자신의 문화적 편향과 편견 발견

– 대상자가 속해 있는 하위문화 혹은 특수 집단에 대한 이해

– 자신의 문화의 강점, 다양성, 가치 등을 이해

– 대상자를 돕는 것이 목적임을 명확히

– 대상자의 세계와 환경적 맥락에 대한 총체적 시각 유지

문화적 자기인식

– 인간발달의 마지막 단계를 타인의 문화적 정체성을 수용

– 간호사는 문화적 렌즈를 이용하여 대상자 이해와 공감 필요

– 간호사의 다문화적 접근

– 건강관리제공자는 문화적으로 적절한 중재를 위해 특정 민족이나 문화 집단의 입장에서 상황을 바라보고 관점 변화

영적 이해

– 종교는 신념, 가치, 행동 양식, 예식 등의 영성적 시스템의 실행

– 종교는 관심과 신념의 조직된 체계를 통해 영성을 표현하는 발판 역할

영성

– 자신, 타인, 혹은 더 높은 힘과의 관계에 대한 감각

– 개인보다 위대한 힘에 대한 믿음, 윤리체계, 삶의 목적, 용서할 수 있는 힘

– 삶에 대한 감사, 고통에서 의미를 찾아낼 수 있는 능력

– 섭리에 대한 믿음, 신앙

– 영성은 신 혹은 다른 초월적 존재와 자신의 삶을 연관시키려 하는 모든 활동과 신념

영성과 종교의 긍정적 & 부정적 영향

긍정적인 영향

– 종교는 효과적인 인지체계의 제공과 사회적 지지 제공 삶의 안녕 증진

– 종교활동은 불안을 낮추고 주요우울장애의 발생 빈도 감소

– 종교활동이 우울 뿐만 아니라 우울의 가장 극단적 결과인 자살로부터 보호

부정적인 영향

– 종교에 몰두한 사람들은 그들 자신에게 비현실적인 기대가 높음 : 고립과 소외의 결과 초래 가능성

– 건강하지 못한 광신적 믿음체계는 신체적 • 정신적 건강에 악영향

정신건강관리에서 영적 · 종교적 중재

가치 명료화

정신건강관리에서 간호사의 역할

– 간호의 목적 : 대상자, 가족, 지역사회가 그들이 도움을 원하는 부분에 대해

– 신체적, 정신적, 정신사회적, 영적, 문화적, 환경적 상황을 증진, 수정 혹은 조정

– 미국간호협회와 세계간호연맹의 간호윤리강령은 간호사들이 개인의 가치, 문화, 영적 신념 등을 존중하는 환경 속에서 간호를 제공할 것을 권장

영적 사정

– 그 믿음 종교, 영성 은 당신의 질환에서 중요합니까?

– 다른 상황에서도 그 믿음이 중요했습니까?

– 종교적 문제에 대해 이야기할 사람이 주변에 있습니까?

– 다른 사람과 종교적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은 마음이 있습니까?

영적 중재의 금기

– 대상자에게 조현병 혹은 망상이 있을 때

– 대상자가 중재 참여에 원하지 않을 때

– 미성년자의 경우 부모의 신념에 반대되는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부모가 알지 못할 때(법적 문제 발생 가능성)

영적인 대처전략과 중재

– 기도

– 종교 서적을 이용하는 독서요법

– 사색과 명상

– 회개와 용서

– 예배와 의례

– 종교모임 및 봉사활동

– 영성일기쓰기

yongyong

Recent Posts

항문호흡이 다시 한 번 임상실험으로 증명되다 (2024 이그노벨상 수상)

항문호흡이 다시 한 번 임상실험으로 증명되다 (2024 이그노벨상 수상) 코로나 시기 당시에 호흡기 질환으로 인한…

1일 ago

폐경 완경 논란 – 산부인과 의사 입장

폐경 완경 논란 - 산부인과 의사 입장 https://nurseyong.com/%EC%99%84%EA%B2%BD%EC%9D%B4%EB%9D%BC%EB%8A%94-%EC%A2%8B%EC%9D%80-%EB%A7%90%EC%9D%84-%EB%91%90%EA%B3%A0-%EC%99%9C-%ED%8F%90%EA%B2%BD%EC%9D%B4%EB%9D%BC%EB%8A%94-%EB%A7%90%EC%9D%84-%EC%93%B0%EC%84%B8/

2주 ago

병원안전사고 사례 분석 (12개월 영아 과다 투약 사망사고)

병원안전사고 사례 분석 (12개월 영아 과다 투약 사망사고) 🩺 1. 사고 요약 2022년 3월 제주대학교병원에서…

2주 ago

동공크기 대광반사

동공크기 대광반사 동공 크기(Pupil Size) 정상 동공 크기: 약 2~5mm, 양쪽이 대칭 형태: 둥글고 경계가…

2주 ago

출혈성 뇌졸중 (Hemorrhagic Stroke) 종류 특성

출혈성 뇌졸중 (Hemorrhagic Stroke) 종류 특성 출혈성 뇌졸중 👉 뇌혈관이 파열되어 혈액이 뇌조직 또는 지주막하…

2주 ago

허혈성 뇌졸중 (Ischemic Stroke) 종류 특성

허혈성 뇌졸중 (Ischemic Stroke) 종류 특성 허혈성 뇌졸중 (Ischemic Stroke) 혈류가 차단되어 뇌조직이 산소와 영양을…

2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