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간호학) 보건정보 및 기술 활용

(지역간호학) 보건정보 및 기술 활용

– 지역보건의료 분야 정보화 전략계획을 단계적으로 추진한 결과 전국 보건기관(보건소, 보건지소, 보건진료소, 건강생활지원센터, 보건의료원)의 업무를 통합 운영할 수 있는 지역보건의료정보시스템을 구축하여 보건사업 및 행정업무의 자동화, 진료 및 진료 관련 업무(청구, 심사 등)의 전산화, 실적 및 통계 보고자료 제공, 온라인을 통한 대국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보건의료 분야에서 정보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지역사회간호사들은 일차보건의료전문가로서의 성공적 역할 수행을 위해서 보건정보 및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간호정보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

– 간호정보 역량 :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 정보와 관련된 업무와 역할을 수행하는 능력

1. 정보기술의 활용

– 최상의 보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지역사회간호사는 정보가 언제 필요한지 인식하고, 그 정보를 적절하게 찾아서 평가하고 활용하는 것으로 인터넷을 이용한 문헌검색과 정보원의 평가 등 지역사회의 정보를 잘 활용

2. 지역보건의료정보시스템(Public Health Imfomation System, PHIS)

– 지역보건의료정보시스템 : 보건복지부가 보건기관의 전반적인 업무를 정보화하고 전국 보건기관(보건소, 보건지소, 보건진료소, 건강생활지원센터, 보건의료원)의 업무를 통합 운영하도록 구축한 정보시스템

– 보건기관에서 시행하고 있는 보건사업 및 행정업무를 자동화하고, 전자의무기록(EMR) 적용과 진료 관련 업무(청구, 검사 등)의 전산화를 통한 업무의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 근거중심의 정책수립을 위한 각종 실적 · 통계 보고자료 등을 자동화하여 제공하며, 온라인을 통한 제증명 발급, 진료내역 및 검진결과 확인 등의 대국민 서비스를 제공

3. 지리정보시스템(GIS)

– 1854년 닥터 존 스노우는 영국 런던의 콜레라 발생 사례를 지도 위에 표시함으로써 사람과 환경 사이의 연결 고리에 대한 해석을 용이하게 하였다.

– 그의 지도는 특정한 물의 공급이 콜레라 발병의 원인이라는 가설을 이끌어냈으며, 그 당시 콜레라 전파기전에 대한 과학적 증명을 할 수는 없었으나 질병발생의 공간적 측면을 이해했기 때문에 물 공급의 차단이라는 효과적인 질병발생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었다.

– 지구상의 모든 사물, 사람, 사건이나 현상은 어떤 장소에 존재하거나 발생하게 된다.

4. 전자 자료교환(EDI)

–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는 국제 간 또는 국내 기업 간의 컴퓨터 통신을 통하여 표준화된 거래문서를 전자적으로 상호 교환하는 방식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의료보험 청구자료를 전송

5. u-health

– 정보통신과 보건의료를 연결하여 언제 어디서나 예방, 진단, 치료, 사후관리의 보건의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 시스템 또는 환경

홈케어

– 혈압계, 혈당계, 체중계 등 가정용 생체정보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측정하고 이를 서비스 센터로 전송하여 건강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모바일 헬스케어

– 이동 중에도 생체정보를 측정하여 언제 어디서나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

디지털 헬스

– 언제 어디서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각종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개발, 디지털 기술과 접목된 다양한 건강상태 원격 모니터링 기구, 환자 간호를 보조하는 돌봄 로봇, 보건의료 분야의 확장현실(XR) 등

6. 빅데이터 활용

– 빅데이터란 단순한 데이터의 크기가 아니라 데이터의 형식과 처리 속도 등을 함께 포함하는 개념으로 기존 방법으로는 데이터의 수집, 저장, 검색, 분석 등이 어려운 데이터를 총칭해서 일컫는 용어

– 2019년부터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hcml.mohw.go.kr)을 제공

yongyong

Recent Posts

항문호흡이 다시 한 번 임상실험으로 증명되다 (2024 이그노벨상 수상)

항문호흡이 다시 한 번 임상실험으로 증명되다 (2024 이그노벨상 수상) 코로나 시기 당시에 호흡기 질환으로 인한…

1일 ago

폐경 완경 논란 – 산부인과 의사 입장

폐경 완경 논란 - 산부인과 의사 입장 https://nurseyong.com/%EC%99%84%EA%B2%BD%EC%9D%B4%EB%9D%BC%EB%8A%94-%EC%A2%8B%EC%9D%80-%EB%A7%90%EC%9D%84-%EB%91%90%EA%B3%A0-%EC%99%9C-%ED%8F%90%EA%B2%BD%EC%9D%B4%EB%9D%BC%EB%8A%94-%EB%A7%90%EC%9D%84-%EC%93%B0%EC%84%B8/

2주 ago

병원안전사고 사례 분석 (12개월 영아 과다 투약 사망사고)

병원안전사고 사례 분석 (12개월 영아 과다 투약 사망사고) 🩺 1. 사고 요약 2022년 3월 제주대학교병원에서…

2주 ago

동공크기 대광반사

동공크기 대광반사 동공 크기(Pupil Size) 정상 동공 크기: 약 2~5mm, 양쪽이 대칭 형태: 둥글고 경계가…

2주 ago

출혈성 뇌졸중 (Hemorrhagic Stroke) 종류 특성

출혈성 뇌졸중 (Hemorrhagic Stroke) 종류 특성 출혈성 뇌졸중 👉 뇌혈관이 파열되어 혈액이 뇌조직 또는 지주막하…

2주 ago

허혈성 뇌졸중 (Ischemic Stroke) 종류 특성

허혈성 뇌졸중 (Ischemic Stroke) 종류 특성 허혈성 뇌졸중 (Ischemic Stroke) 혈류가 차단되어 뇌조직이 산소와 영양을…

2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