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간호학) 지역사회 간호이론

(지역간호학) 지역사회 간호이론

1. 체계이론(System Theory)

1) 체계의 개념

– 체계 : 개방체계와 폐쇄체계로 나뉨

– 개방체계 : 체계 내에서 경계를 통해 환경과 상호 교환되는 요소들의 집합체

– 퍠쇄체계 : 환경과의 관계가 상호 닫혀 있는 요소의 집합체

– 개방체계는 환류기전과 체계 자체의 정보처리 요소를 통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필요한 정보를 입수하고, 균형을 유지하며 체계가 항상성ㅇ을 유지하도록 돕는다. 그러므로 인간은 개방체계의 한 예로 볼 수 있음

2) 체계의 구조와 기능

– 기본구조

  • 경계(boundary) : 체계를 환경으로부터 구별하는 부분
  • 환경(environment) : 경계 외부의 세계
  • 계층(hierarchy) : 체계의 배열은 계층적 질서르 가지고 있으며, 체계는 하위체계 요소들의 계속적인 교환과 활동에 의해 유지된다.
  • 속성(attributes) : 체계의 부분이나 요소들을 의미한다.

– 체계의 질서와 양상

  • 투입(input) : 에너지, 물질, 정보가 체계 내에 유입되는 과정
  • 변환(throughput) : 체계내에서 에너지, 물질, 정보를 사용하는 과정
  • 산출(output) : 변환과정의 결과로 생산된 에너지, 물질, 정보
  • 회환(feedback) : 체계가 완전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 산출의 일부가 재투입되는 과정

3) 체계이론의 지역사회간호 적용

– 지역사회도 하나의 체계이고 건강에 대한 목표를 가지고 있음

– 체계이론의 지역사회간호 적용

구성 요소지역사회간호 적용
목표(goal)적정기능수준의 향상
경계(boundary)지역사회의 경계(예 : 도시의 행정구역)
구성물(component)지역사회주민
자원(resource)지역사회 내의 건강과 관련된 인적 · 물적 · 사회환경적 자원들
상호작용(interaction)지역사회주민과 인적 · 물적 · 사회환경적 자원과의 상호작용
지역사회간호 사업체계 모형

2. 교환이론(Exchange Theory)

– 인간이 합리적인 동물이며 최대의 이익을 추구하려는 경향이 있다는 심리적 특성에 전제

– 교환과정은 간호과정 중 수행 단계에서 가장 잘 이루어짐

– 지역사회간호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교환이론적 접근은 대인관계에서 물질적 자원과 비물질적 자원의 교환이 이루어지는 것에 관심을 가짐

– 물질적 교환과정은 상점에서 물건을 살 때 물건값을 주고 그 값에 해당하는 물건을 받는 것

– 비물질적 교환과정은 당신이 어떤 사람을 보고 웃는다면 그 상대자도 웃을 것이다.

– 어떤 사회적 관계라도 일방적인 교환이 이루어질 수는 없다.

– 간호사는 정기적으로 주민, 보건의료팀 요원들과 교환과정을 관찰하고 평가해야 한다.

– 교환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지역사회간호사는 서로 주고받는 대등한 위치에서 접근해야 한다.

3. 베티 뉴만(Betty Neuman)의 건강관리체계 이론

– 간호활동을 예방활동의 개념으로 설명하였다.

– 인간을 총체적 존재로 접근하며 생리적, 심리적, 사회문화적, 발달적 및 영적인 변수로 구성된 하나의 체계로서 생존의 필수요소로 구성되어 있는 기본구조와 이를 둘러싸고 있는 3가지 방어선, 즉 정상방어선 · 유연방어선 · 저항선으로 형성된 체계로 보았다.

– 대상체계는 환경과 접하고 있으며, 이들 환경은 내 · 외적 환경으로 이루어져 있다.

–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스트레스원은 대상체계의 가장 밖을 둘러싸고 있는 유연방어선과 접하게 되며, 이때 스트레스원이 유연방어선보다 약하면 여기에서 영향이 차단된다.

– 스트레스원이 강하면 이를 뚫고 들어와 정상방어선에 침입하게 된다.

– 대상체계는 반응을 나타낸다.

– 저항선들이 스트레스원을 잘 막아내게 되면 여기에서 중단되지만, 스트레스원이 저항선을 뚫게 되면 기본구조를 침입하게 되어 기본구조가 파괴뇌다.

– 기본구조의 파괴를 그대로 방치하면 결국 사망에 이르게 되고, 이를 잘 중재하게 되면 다시 재구성을 이루게 할 수 있다.

– 간호활동은 기본구조를 보호하기 위해 스트레스원을 제거 또는 약화시키거나 유연방어선 및 정상방어선을 강화시키는 일차예방 활동과 저항선을 강화시키고 나타나는 반응에 대해 조기 발견하고 빠르고 정확한 처치를 시행하는 이차예방 활동, 그리고 기본구조에 손상이 왔을 때 이를 재구성하도록 돕는 삼차예방활동

1) 주요 개념과 정의

기본구조

– 유기체가 생존하기 위한 필수적인 구조

– 모든 개체가 다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생리적, 심리적, 사회문화적, 발달적, 영적 요소

– 건강관리와 간호의 기본목적 : 유연방어선과 정상방어선을 강화하는 것

유연방어선

– 기본구조를 둘러싼 선 중 가장 바깥에 위치하는 것

정상방어선

– 저항선의 바깥에 존재하는 방어선

– 대상자의 안녕상태 혹은 스트레스원에 대해 정상범위로 반응하는 상태

저항선

– 대상체계가 스트레스원에 의해 기본구조가 침투되는 것을 보호하는 내적 요인들

– 각 개체는 나름대로의 저항요소를 가지고 있어서 이 저항요소의 기능에 의해 정상방어선을 지킨다.

– 예) 신체 면역체계

스트레스 원

– 모든 환경은 자극으로 존재

① 체계 내 요인 : 개체 내에서 일어나는 요소로서 다시 대상체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자극을 의미. 예) 조건반사, 통증, 불안, 상실

② 체계 간 요인 : 한 사람 또는 그 이상의 개인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자극요인. 예) 역할기대

③ 체계 외 요인 : 체계 외부에서 일어나는 요인. 예) 경제적 상황, 관습의 변화

반응도

– 대상자가 스트레스원에 적응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양

예방 중재

① 일차예방 : 유연방어선과 정상방어선을 강화함으로써 스트레스원이 정상방어선을 침범하지 못하게 보호하려는 간호중재

② 이차예방 : 스트레스원이 정상방어선을 침입하여 저항에 도달함으로써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했을 때 시행하는 중재방법

③ 삼차예방 : 스트레스원에 의하여 대상체계의 균형이 깨진 상태에서 다시 체계의 균형 상태를 재구성함으로써 바람직한 안녕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중재

복구

– 이 단계는 체계가 안정된 상태로 되돌아가는 것

– 이때의 안정성은 스트레스원이 침범하기 전의 건강상태보다 높아질 수도 있고 낮아질 수도 있다.

2) 이론의 간호과정 적용

뉴만 이론의 간호과정 적용 예

간호중재

간호진단
일차예방이차예방삼차예방
지역사회의 유연방어선 및 정상방어선 강화지역사회의 저항선 강화지역사회 체계의 안정성 유지
만성 질환자 증가
수인성 감염병 발생 가능성
비위생적인 환경관리
안전사고 위험 발생 가능성
부적당한 건강관리 행위
· 지역주민의 건강교육
· 지역사회 내 위험요인 감소 및 제거
· 지역주민의 식이조절, 적절한 운동, 수면 등
· 스트레스 대처전략
· 지역사회 문제의 조기 발견
· 지역사회 문제해결을 위한 자원 활용 및 의뢰
· 새로운 삶의 양식에 적응하기 위한 재교육
· 발생 가능한 문제예방을 위한 재교육
· 지역사회 재활사업 제공

4. 오렘(Dorothea Orem)의 자가간호이론(Self-care Theory)

– 오렘은 대상자인 인간을 생물학적, 사회적, 상징적으로 기능하는 하나의 통합된 개체로서 자가간호라는 행동 형태를 통해 계속적인 자기유지와 자기조절을 수행하는 자가간호 요구를 가진 자가간호행위자

– 자가간호 : 인간이 자신의 생과 건강과 안녕을 유지하기 위해 솔선하여 수행하는 행동으로서 인간 내부에는 자가간호를 위한 요구와 자가간호를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 인간이 가지고 있는 자가간호 요구와 자가간호 역량보다 높을 경우 자가간호 결핍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 간호는 자가간호 결핍이 있는 사람에게 제공된다.

1) 주요 개념 및 정의

6개의 기본 개념(자가 간호, 자가간호 요구, 자가간호 역량, 자가간호 결핍, 간호역량, 간호체계)과 기본 조절 요인으로 구성

(1) 자가간호

– 자신의 생명과 건강과 안녕을 유지하기 위해 솔선하여 수행하는 활동

(2) 자가간호 요구

① 일반적 자가간호 요구 :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과 관련된 행동으로 공기, 물, 음식섭취, 배설, 활동과 휴식, 고립과 사회적 상호작용, 생명과 연령에 대한 위험으로부터 예방, 정상적인 삶 등의 자가간호 요구를 의미

② 발달적 자가간호 요구 : 인간의 발달과정과 생의 주기의 다양한 단계 동안 생기는 임신, 미숙아 출생, 가족 사망 등과 같이 성장발달과 관련된 상황에서 필요로 하는 자가간호 요구를 의미

③ 건강이탈 시의 자가간호 요구 : 질병이나 상해 시에 요구되는 것으로 자아상의 정립, 일상생활과정의 변화, 건강이탈로 인한 진단이나 치료에 대처하거나 새로운 생활에의 적응과 관련되어 나타나는 자가간호 요구를 의미

(3) 자가간호 역량 : 자가간호 역량은 자가간호를 수행하는 개인의 힘

(4) 자가간호 결핍 : 대상자 개인의 자가간호 역량이 자신의 치료적인 자가간호 요구를 충족시킬 수 없을 때 발생하는 자가간호 역량의 부족 현상

(5) 간호 역량 : 자가간호 결핍이 있는 대상자에게 이익과 안녕을 주고 자가간호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치료적 간호체계를 설계, 제공, 조절하는 간호능력

(6) 간호체계

① 전체적 보상체계 : 환자가 정신적 · 신체적으로 완전히 무기력한 상태이거나 주변 환경을 약간만 인식하는 상태로 자가간호 활동 수행을 거의 하지 못해 간호사가 환자의 산소공급, 영양공급, 배설, 신체청결, 신체운동 및 감각자극 등의 모든 욕구를 충족시켜 주어야 되는 경우

② 부분적 보상체계 : 일반적인 자가간호 요구는 충족시킬 수 있으나 건강이탈 시의 자가간호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간호사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경우로 수술받은 지 얼마 되지 않은 환자의 경우

③ 지지적 교육체계 : 충족시키는 자원을 가지고 자가간호를 수행할 수 있으나, 지식이나 기술을 획득하는 데 간호사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경우. 이 체계에서의 돕는 방법은 지지, 지도교육, 발전적인 환경제공 등

2) 이론의 간호과정 적용

– 가족의 요구 충족을 위한 전략

– 간호중재는 다음의 3가지 체계 중 하나를 선택하여 설정한다.

  • 전체적 보상체계 : 가족은 자신들의 능력만으로는 자가간호 활동을 수행할 수 없다.
  • 부분적 보상체계 : 가족과 간호사는 자가간호 활동 수행을 위한 책임을 분담한다.
  • 지지적 교육체계 : 가족은 필요할 때 간호사의 지도와 교육을 통해 자가간호 활동을 수행한다.

5. 로이(Callista Roy)의 적응이론

– 간호의 대상인 인간은 하나의 체계로서 주위환경으로부터 계속적으로 투입되는 자극을 받고 있으며, 이러한 자극에 대해 내부의 과정인 대처기전을 활용하여 적응 양상을 나타내고 그 결과로서 반응을 나타내며, 이 산출물인 반응은 환류되어 다시 자극의 형태로 투입원이 된다.

– 인간이 자극에 대해 적응하는 과정에는 2가지 상호 관계를 가지고 있는 대처기전과 적응 양상이 작용

로이의 적응체계 모형

1) 주요 개념과 정의

(1) 자극

① 초점자극 : 인간의 행동유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즉각적이며, 직접적으로 직면하고 있는 사건이나 상황 변화

② 연관자극 : 초점자극에 의해 유발되는 행동에 관련된 다른 모든 자극을 말하는 것으로, 현 상태에 영향을 주고 측정될 수 있는 내 · 외적 세계에 존재하는 자극

③ 잔여자극 : 인간행동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현 상태와 관련되어 있지만 대부분 측정되기 어려운 신념, 태도, 성격 등 파악하기 어려운 개개인의 특성

(2) 대처기전

① 조절기전 : 자극이 투입될 때 중추신경계를 중심으로 하는 화학적, 내분비계 반응 등을 통해 자율적을 반응하는 하부체계 대처기전

② 인지기전 : 자극이 투입될 때 인지적 정보처리 과정, 학습, 판단, 정성 등의 복잡한 과정을 통해 반응하는 하부체계 대처기전

(3) 적응 양상

① 생리적 기능 양상 : 환경의 자극에 대해 인간이 신체적으로 반응하는 방법으로, 신체의 기본 욕구에 대해 반응하는 것이다. 이에 포함되는 욕구는 수분과 전해질, 운동과 휴식, 배설, 영양, 산소공급과 순환, 체온, 감각 및 내분비계 조절 등

② 자아개념 양상 : 정신적 통합성을 유지하기 위해 일어나는 적응 양상으로, 신념과 느낌의 합성물로서 지각(특히 타인들의 반응)으로부터 형성되고 자신의 행동을 관리한다. 이는 신체적 자아와 개인적 자아로 구분된다.

– 신체적 자아 : 자신의 신체에 대한 주관적인 생각으로 감각과 신체상이 포함됨

– 개인적 자아 : 자신의 성격, 기대, 가치에 대한 평가로서 자아일관성, 자아이상 기대, 도덕적 · 윤리적 자아로 구성됨

③ 역할기능 양상 : 부여된 사회적 지위에 따른 의무의 수행. 환경 내의 달느 사람과의 상호작용에 의존

④ 상호의존 양상 : 의미 있는 타인이나 지지체계와의 관계, 사랑, 존경, 가치를 주고받는 것과 관련. 이 양상에서는 양육, 애정, 사랑에 대한 욕구충족으로 심리적 통합성을 유지

(4) 반응

적응 반응

비효율적 반응

2) 이론의 간호과정 적용

yongyong

Recent Posts

케겔운동 ‘제대로’ 하는 법

케겔운동 '제대로' 하는 법 케겔운동 '제대로' 하는 법.mp4 케겔운동 방법 가슴을 펴고 배를 집어넣어서 배꼽을…

1일 ago

(정신건강간호학) 간호과정 02

(정신건강간호학) 간호과정 02 정신간호실무에서 주로 사용하는 간호진단 사례1 자해 및 자살위험이 있는 경우 자해 위험성(Risk…

4일 ago

난다 간호진단 분류체계 2024-2026 (NANDA)

난다 간호진단 분류체계 2024-2026 (NANDA) 난다 간호진단 분류체계 1973년 간호진단 분류체계를 개발하기 위한 최초의 모임인…

4일 ago

(정신건강간호학) 간호과정 01

(정신건강간호학) 간호과정 01 자료출처 1차 자료 출처대상자와의 면담, 관찰2차 자료 출처- 환자의 가족, 친척, 친구,…

5일 ago

수술실 조명에서 그림자가 생기지 않는 이유

수술실 조명에서 그림자가 생기지 않는 이유 무영등(無影燈, shadowless lamp)이라는 특수 조명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10만 Lux…

5일 ago

연차별 간호사의 초점

연차별 간호사의 초점 신규 간호사의 초첨 미숙한 업무 능력 불분명한 업무 경계 프리셉터와의 갈등 3년차…

5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