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확한 약물, 정확한 용량, 정확한 대상자, 정확한 경로, 정확한 시간
– 약을 바꾸어 투약하는 것
– 약용량의 과소, 과대 투약
– 의사의 지시 없는 투약
– 투약방법의 과오
– 투약시간의 과오
– 환자를 바꾸어 투약하는 것
– 정확하게 처방을 해석한다.
– 처방된 용량을 주기 위해 정확하게 약용량을 계산한다.
– 투약의 5원칙을 이용하여 체계적이고 안전한 절차를 개발한다.
– 병원방침에 따라 약물투여를 기록한다.
– 환자가 투약을 거절할 때 간호기록지에 기록하고 의사에게 보고한다.
– 약을 준비한 간호사가 직접 투여한다.
– 검사나 기타 이유로 투약이 지연될 경우, 이유를 간호기록지에 기록한다.
– 근육주사는 배둔근(Dorsolgluteal site), 측둔근(Ventrogluteal site), 외측광근부위(Vastus lateralis site), 대퇴직근(Rectus femoris site), 삼각근 중앙부위(Deltoid muscle)에 가능하다.
① 배둔근(Dorsolgluteal site)
– 둔부의 배면 부위
– 복위를 취하고 발끝을 안으로 향한 자세
– 후상장골극과 대퇴부 대전자를 잇는 가상선을 4등분한 둔부의 상외측 부위
– 성인, 3세 이상 어린이
② 측둔근(Ventrogluteal site)
– 측위로 무릎을 약간 구부리게 한 자세
– 전상장골극과 장골능 사이를 V자로 한 지점
– 성인, 7개월 이상 어린이
③ 외측광근부위(Vastus lateralis site)
– 앉거나 누운 자세
– 성인, 3세 미만 어린이
④ 대퇴직근(Rectus femoris site)
– 앉거나 누운 자세
⑤ 삼각근 중앙부위(Deltoid muscle)
– 앉은 자세, 측위(흡수율은 좋음)
① 가능한 가는 주사침과 적절한 길이의 주사침 선택
② 피하조직에 자극성 있는 약물은 주사침 주위에 약물이 묻지 않게
③ 약물을 뽑은 후 새로운 주사침으로 교환 후 주사
④ 이완된 근육에 주사(단단하거나 딱딱한 부위는 피함)
⑤ 주사침은 재빠르게 찌르고 같은 각도로 빨리 뽑는다.
⑥ 지정된 용량 외에 많은 양의 주입은 피함
⑦ 약물은 서서히 주입(근육주사 시 최소 15초 이상 유지)
⑧ 대상자의 두려움에 대해 이야기 하도록 격려
⑨ 계속 주사 맞아야 할 경우는 돌려가면서 주사
접촉시 통증을 느끼거나 정결부위가 있는 근육, 피부의 찰과상, 신경이나 골조직의 손상부위 ,화농 괴사부위, 조직괴사를 일으킬 수 있는 약물, 혈액응고 장애가 있는 환자
– 피하조직을 자극하는 약물을 근육 깊숙이 주사한다.
– 1회 최대 주입용량 4ml (3ml 이상은 통증 유발)
– 주사부위 선정은 안전한 부위 / 근육이 발달된 곳을 선택한다.
– 가능한 둔부의 복면 부위에 주사한다.
– 반복적으로 주입 할 시 주사 부위 교체를 필요로 한다.
① 통증과 불편감 (긴장된 근육에 주사, 자극성 약물 주입시, 피하조직에 알코올이나 근육용 약물 자국을 남겼을 때)
– 근육이 충분히 이완된 자세 취하도록, 약물 묻은 주사바늘 교환, 자극성 약물은 Z-track 방법을 사용
② 단단한 덩어리 형태 (한 부위에 계속적 약물 주입, 피하조직에 약물 주입, 약물이 수용성 제제가 아닐 때, 헤파린 투여, 혈소판 낮은 대상자에게 투여, 철분제제가 피하조직으로 투여)
– 대책 : 마지막 주사한 부위 흉터, 위축조직 등에서 적어도 2~3cm 정도 떨어진 부위에 주사, 주사침 부위를 충분히 주입, 반드시 투여 방법을 확인, 혈소판 수치가 30,000/mL 이하인 경우는 반드시 피함. 철분제제는 Z-track 방법 이용.
③ 신경손상 (주사 시 신경을 건드리거나 약물이 신경 가까이 주입되었을 때, 좌골신경, 대퇴신경, 요골신경이 손상되었을때 일시적 또는 영구적 마비)
– 대책 : 주사 부위를 정확히 확인
④ 뼈의 손상 (통증, 손상)
– 대책 : 가능하면 삼각근과 둔부의 배면 부위를 피함.
⑤ 기대 이상으로 빠른 약물 흡수 (심박동 또는 호흡의 증가, 의식소실, 심혈관 수축 등)
– 대책 : 근육주사 시 주사기의 밀대를 뒤로 당겨서 확인하여 혈관 내로 약물이 주입되지 않도록 함.
⑥ 근육조직 감염
– 반드시 무균법 지킨다.
왼손으로 주사할 부위에서 한쪽 방향으로 2.5~3.5cm 가량 피부와 피하지방을 잡아당겨 약물을 주입한 후 10초간 견인한 후 주사바늘을 제거함(근거 : 10초 동안 근육 조직이 이완되 며 약물이 흡수되기 시작. 주사바늘이 들어갔던 길을 차단하 면 약물은 주사바늘이 들어갔던 길로 나오거나 피하조직에 스며들지 않음)
주사기를 거꾸로 세워 공기를 0.2cc 남기고 주사바늘을 밑으로 하여 공기를 내관 쪽으로 올린 후 주사하는 방법→ 주사바늘 속의 약물 모두 주입 가능
약물이 피부 표면, 피하지방으로 새어 나오는 것을 예방 → 반면 동통이나 조직손상 가능성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예방주사 시 농양 형성 방지
간호사의 요청에 초소형 기저귀 만들었다 (유한킴벌리의 응답) 유한킴벌리와 매일유업이 있는 이상 우리나라는 살만한 나라 저런 기업들을 우린 적극적으로 응원을 해야하는 시기가 아닌가 하네요. 세상이 밝아지게 이젠 적극적으로 노력이 필요한듯... https://nurseyong.com/%ED%95%91%ED%81%AC%ED%90%81-%ED%9A%8C%EC%82%AC%EC%97%90-%EB%A9%94%EC%9D%BC%EC%9D%84-%EB%B3%B4%EB%82%B8-%EA%B0%84%ED%98%B8%EC%82%AC%EC%9D%98-%EC%B9%B4%ED%86%A1/
의사랑 간호사는 사이가 좋을수가 없음 그러니까 범생이들이 뭔가 착각하는게 공부를 잘했으니까 돈을 많이 벌어야한다고 생각한다는거야.…
2024년 간호조무사 국시 상반기 가답안 2024년 간호조무사 국시 일정 https://nurseyong.com/%EA%B0%84%ED%98%B8%EC%A1%B0%EB%AC%B4%EC%82%AC-%EA%B5%AD%EA%B0%80%EC%8B%9C%ED%97%98-%EC%8B%9C%ED%97%98%EB%B0%A9%EB%B2%95-%EB%B3%80%EA%B2%BD%EC%82%AC%ED%95%AD-%EA%B3%B5%EA%B3%A0/ 홀수형 짝수형
2025 국군간호사관학교 1차 시험 기출문제.pdf 문제지 2025학년도 사관학교 1차 선발시험 국어 영역 문제지 2025년도국어영역문제다운로드 2025학년도…
2024 국군간호사관학교 1차 시험 기출문제.pdf 문제지 2024학년도 사관학교 1차 선발시험 국어 영역 문제지 2024년도국어영역문제다운로드 2024학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