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개내압 상승 (IICP) 환자의 증상 치료 간호

두개내압 (IntraCranial Pressure, ICP)

정의

: 두개강 내 압력

3대 구성요소-뇌조직, 뇌척수액, 혈액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

※ Adult Total = 1,500ml

– Brain tissue(1300ml)

– Blood(60ml)

– CSF(140ml)

Normal ICP 5~15mmHg

ICP >20mmHg is definitely pathological

Monro-Kellie Doctrine

두개강 내에 존재하는 뇌실질, 혈액, 뇌척수액 중 하나의 용적에 변화가 생기면 나머지 것들이 그에 상반되는 완충작용을 함

→ 이를 통해 두개강내압을 정상으로 유지

→ 보상의 한계치를 넘으면 decompensation 상태가 되어 용적(부피)가 조금만 증가해도 두개강내압이 크게 상승

뇌혈류와 뇌관류압

Cerebral perfusion pressure(뇌관류압)

: 뇌로 가는 혈류를 유지하는 압력

– 정상 : 70~100mmHg

– CPP = 평균동맥압(MAP)- ICP

※ MAP(mean arterialpressure) = 이완기압+1/3(수축기압-이완기압)

CBF = Cerebral Perfusion Pressure(CPP)/Cerebral Vascular Resistance(CVR) = (MAP – ICP) / CVR

뇌혈류(CBF) 조절 기전

압력자동조절 (Pressure autoregulation)

관류압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뇌혈류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뇌를 보호하는 자동조절기능

예: 높은 동맥압은 혈관의 Stretch receptor를 자극, 혈관을 수축시켜 정상 수준으로 혈류를 감소

– 뇌관류압 증가 → 혈관 수축(혈류 감소)

– 뇌관류압 감소 → 혈관 확장

혈압변화에 따른 자동조절 범위 : 평균동맥 60~160mmHg

MAP 160mmHg 이상 시 : 혈관의 수동적 확장, BBB 파괴, 혈관외 유출, 부종, 출혈 발생

MAP 60mmHg 이하 시 : 혈압감소에 따라 뇌혈류 감소 → 뇌허혈

대사자동조절 (Metabolic autoregulation)

탄산가스는 강력한 혈관 확장제

두개 내 뇌혈류 국소 조절의 가장 강력한 자동조절 기전은 탄산가스와 수소이온 농도

기전: CO2는 혈관을 잘 통과하여 H2O와 결합

→ H2CO3 → H+와HCO3-로 분리, 뇌혈관 주위 산도를 떨어뜨려 혈관 확장, 뇌혈류 증가

※ PCO2 1mmHg ↑→ 뇌혈류 2~4% 증가

PO2 50mmHg↓ 시 뇌혈관 이완(확장), 혈류증가로 산소분압을 올리려고 함

산소분압 상승하지 않으면 혐기성 대사 시작, 젖산 축적으로 산성화(H+), 혈관 확장, 뇌혈류 증가

두개내압 상승 (Increased IntraCranial Pressure, IICP)

Increased ICP(IICP) : ICP 20mmHg 이상

원인

뇌실질 증가 : 뇌부종 등

공간점유 병소 : 종양, 혈종, 농양 등

뇌순환 혈액량의 증가

뇌척수액 증가

– 흡수저하 : menigitis, SAH

– 순환폐쇄 : 수두증(Tumor, Hematoma)

– 과잉생산 : choroid plexus papilloma

기타 : Valsalva maneuver, 기침(복부/흉부 압력 상승)

증상과 증후

의식수준의 저하 – 가장 민감한 증상

Headache(아침 두통이 심함)

Nausea, projectile Vomiting

Vital sign의 변화 : cushing triad – BP↑(맥압↑), 서맥, 불안정한 호흡 (cheyne stokes 호흡, 실조성 호흡) + 체온상승

Papill edema, 동공변화, 복시

운동과 감각의 변화

경련(seizure)

Cushing 궤양(시상하부 자극→미주신경 활성화 →가스티린 분비 증가/염산분비과다)

급성만성
원인두개내혈종
악성뇌종양, 뇌농양
수두증
양성뇌종양
선천성 이상
자각적 증상심한 두통
구역, 구토
두통(morning headache)
구역, 구토 (소화기 증상 동반X)
시력장애(유두부종이 원인)
현기증
타각적 증상Cushing 현상(서맥, 혈압 상승)
의식장애
망막출혈
동공확대
경련
유두부종
외전신경마비
기억장애
인격변화

합병증 : 부적절한 뇌관류, 뇌탈출(herniation)

치료 및 간호

외과적 수술

Hematoma removal , Tumor removal

Craniectomy-감압 목적

EVD or VP shunt(뇌실-복막 단락술)-CSF 배액

고탄산증과 저산소증의 예방

Hyperventilation : PCO2 25-35mmHg

흡인은 가능하다면 10초 미만으로 짧게 할 것

ABGA 모니터링

Oxygenation –필요 시 기관삽관, 기계호흡

약물요법

이뇨제

– mannitol : BBB 사이에서 삼투압 차에 의한 수분이동 촉진, 0.5~1.5g/kg 용량 사용, 15분 내 효과발현

– glycerol : 만니톨보다 투여효과 늦으나 반동현상적 고 전해질 불균형 위험이 적음

– 이뇨제(Lasix) : 혈관의 정수압 감소

에방적 항경련제 투여

corticosteroid : 혈관성 부종에 효과적

제산제 & H2 차단제 : IICP로 인한 cushing ulcer 예방

배변완화제 : 변비로 인한 발살바 수기 완화 위해

Barbiturate 혼수요법

다른 치료로 ICP 조절 되지 않을 때

심장기능 억압 시키므로 혈압 유지 주의(SBP>90mmHg)

인공호흡기 적용

치료적 저체온요법

BT 35.5℃ 이하 유지는 뇌압 하강 효과

체온상승 →세포대사↑→ CO2↑→ 젖산 축적 → IICP

Shivering(오한, 떨림)을 조절 할 것

저체온 요법 후 체온상승 속도를 아주 천천히 할 것

(시간 당 0.05~0.1℃ 상승 하도록)

두개내압 감시(ICP monitoring)

목적

ICP 상승을 조기(뇌손상 생기기 전) 확인

비정상의 정도를 수치로 확인

두개내압 상승의 적절한 치료 가능

뇌척수액 채취와 배액

치료의 효과 평가

두개내압 감시방법과 종류

뇌실 내 도관(intraventricular catheter)

지주막하강/경막하강 나사(bolt)

경막상 장치(epidural devices)

광섬유변환장치(Fiberoptic device)

감염 예방을 위한 뇌실외배액관(EVD) 관리

EVD 삽입은 수술실에서 시행

예방적 항생제는 피부절개 60분 이내 투여

Chlorhexidine/alcohol로 피부 소독, 소독방포로 덮음

EVD 카테터는 최소 3cm 터널링함

EVD 삽입 후 조작을 최소화, EVD 교체 주기- 7일

EVD 조작 및 접근 시 엄격한 무균술 준수

간호진단

뇌조직관류장애

간호목표 : 두개내압 감소로 정상 뇌관류 유지함

간호계획 및 중재

두개내압 상승 증상이 있는지 관찰

체위- 두부상승(정맥환류 촉진), 경부와 둔부의 과도한 신전과 굴곡 피함

잦은(1시간마다) 신경학적 사정

적절한 환기와 기도개방 유지, 필요 시 산소공급

흡인 전 100% 산소로 과환기, 흡인은 1회 10초 미만

복부, 흉곽, 두개 내 압력을 증가시키는 Valsalva

maneuver 금지(배변 시 힘주기, 기침 등), 복부팽만 사정

조용한 환경 제공

I & O 측정 및 균형 유지

체온조절-필요 시 저체온 요법

기도개방 유지불능

간호목표 : 정상 호흡을 유지함

간호계획 및 중재

호흡상태 모니터링

과도환기(Hyperventilation)-PaCO2 25~30mmHg 유지

기도청결히 하여 개방성 유지

폐 부위는 8시간 간격으로 청진-수포음, 울혈 여부 확인

두부상승으로 정맥배액과 분비문 제거를 용이하게 함

체액부족 위험성

간호목표 : 체액균형을 유지함

간호계획 및 중재

탈수 여부 확인-피부긴장도, 점막상태, 소변삼투압 등 모니터링

(IICP 시 수분섭취 제한, 이뇨제 투여로 인해 탈수 가능)

정상 배뇨 기능 유지 위해 소변배설량, 비중, 요당 측정

필요 시 유치도뇨관 삽입, 정확한 체액상태 모니터링

수액주입-속도 조절 장치 사용

감염 위험성

간호목표 : 감염예방

간호계획 및 중재

두개내압 감시 를 위한 도관 삽입 시 뇌막염의 증상과 징후를 주의깊게 사정(열, 오한, 경부강직, 두통 등)

뇌실 내 도관 드레싱은 항상 건조하게 유지

기구를 조작하거나 배액백을 비울 때 무균술 준수

연결부위와 잠금장치를 점검-누출이 없도록

도뇨관 삽입 시

  • 요도부위 피부 관찰(가피, 화농성 배액 등)
  • 폐쇄시스템 유지, 소변이 막히지 않도록
  • 손위생
  • 소변의 양상 관찰(감염 여부 확인 위해)
yongyong

Recent Posts

폐경 완경 논란 – 산부인과 의사 입장

폐경 완경 논란 - 산부인과 의사 입장 https://nurseyong.com/%EC%99%84%EA%B2%BD%EC%9D%B4%EB%9D%BC%EB%8A%94-%EC%A2%8B%EC%9D%80-%EB%A7%90%EC%9D%84-%EB%91%90%EA%B3%A0-%EC%99%9C-%ED%8F%90%EA%B2%BD%EC%9D%B4%EB%9D%BC%EB%8A%94-%EB%A7%90%EC%9D%84-%EC%93%B0%EC%84%B8/

2일 ago

병원안전사고 사례 분석 (12개월 영아 과다 투약 사망사고)

병원안전사고 사례 분석 (12개월 영아 과다 투약 사망사고) 🩺 1. 사고 요약 2022년 3월 제주대학교병원에서…

3일 ago

동공크기 대광반사

동공크기 대광반사 동공 크기(Pupil Size) 정상 동공 크기: 약 2~5mm, 양쪽이 대칭 형태: 둥글고 경계가…

3일 ago

출혈성 뇌졸중 (Hemorrhagic Stroke) 종류 특성

출혈성 뇌졸중 (Hemorrhagic Stroke) 종류 특성 출혈성 뇌졸중 👉 뇌혈관이 파열되어 혈액이 뇌조직 또는 지주막하…

3일 ago

허혈성 뇌졸중 (Ischemic Stroke) 종류 특성

허혈성 뇌졸중 (Ischemic Stroke) 종류 특성 허혈성 뇌졸중 (Ischemic Stroke) 혈류가 차단되어 뇌조직이 산소와 영양을…

3일 ago

무의식 환자 간호 (간호진단 및 중재)

무의식 환자 간호 (간호진단 및 중재) 1. 무의식의 정의 무의식(Unconsciousness)이란 자신과 주위 환경을 인식하지 못하고…

5일 ago